"다른 출처 항공기라도 소형 비행체 대비책 마련해야"
청와대는 지난달 31일 백령도에 국적불명의 무인항공기가 추락한 것과 관련, “(우선) 북한이 한 것으로 생각하고 검토하고 있다”고 2일 밝혔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전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무인항공기 사건에 관심이 높을 텐데, 국가안보실에 알아보니 중간조사 결과는 받았지만 아직 최종 결과는 나오지 않았다”면서 이 같이 전했다.
민 대변인은 다만 “북한이 아닌 다른 출처의 항공기라도 소형 비행체에 대해서는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생각”이라며 “중앙합동조사가 종료되면 국가안보실 주관으로 관련 기관인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수도방위사령부가 합동으로 회의를 해서 대책을 발표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북한이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에 집중 포사격을 했던 지난달 31일 백령도에서 국적이 확인되지 않은 무인항공기가 발견됐다. 추락한 항공기에는 디지털카메라가 장착돼 있었으며, 항공기는 이 카메라를 통해 우리 군의 주요 시설을 촬영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일주일 전인 지난달 24일에도 파주시 봉일천의 한 들판에서 북한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무인항공기가 추락했다. 특히 이 항공기는 부품에 북한식 표기가 들어가 있었으며, 청와대 상공을 비행하며 대통령 관저까지 촬영했던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