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군, 북한 미사일 요격 PAC-3 2016년 도입


입력 2014.04.28 20:02 수정 2014.04.28 20:11        스팟뉴스팀

1조4000억 예산 투입...2020년까지 사업 완료

방위사업청은 28일 김관진 국방부 장관 주재로 제78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를 열고 패트리어트(PAC-3) 유도탄을 2016년 말부터 도입하기 시작해 2020년 말까지 사업을 완료하기로 결정했다. 우리나라 공군의 패트리어트 미사일은 2012년 11월 전력화됐으며, 2013년 10월16일 대천 대공사격장에서 열린 `방공유도탄 실사격 대회'에서 처음 실사격이 이뤄졌다. ⓒ연합뉴스

북한의 미사일을 방어하는 패트리어트(PAC-3) 유도탄이 2016년부터 도입된다.

방위사업청은 28일 김관진 국방부 장관 주재로 제78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를 열어 PAC-2 장비 성능개량 및 PAC-3 유도탄 구매계획안과 장애물 개척 전차 사업추진 기본전략 수정안 등을 의결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북한의 미사일을 하층 고도에서 요격하는 패트리어트(PAC-3) 유도탄을 2016년 말부터 도입하기 시작해 2020년 말까지 사업을 완료하기로 결정했다. PAC-3 유도탄은 미국 정부로부터 대외군사판매(FMS) 방식으로 도입되며 수량은 100발 미만인 것으로 알려졌다.

PAC-3 유도탄은 날아오는 북한의 탄도유도탄을 최대 40㎞ 상공에서 직접 타격하는 무기이다.

기존 배치된 PAC-2는 날아오는 탄도유도탄 인근에서 자동으로 폭발, 그 파편으로 탄도유도탄을 터뜨리는 패트리어트 유도탄이다. 방위사업청은 미국과 유럽 업체를 대상으로 6월 입찰공고를 하고 9월 제안서 평가를 거쳐 11월 중 성능개량 업체를 선정할 계획이다.

방사청 관계자는 "PAC-2 패트리엇 성능개량이 완료되면 북한의 탄도유도탄이 지상에 주는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며 "PAC-3 유도탄 도입과 PAC-2 성능개량에 투입되는 예산은 1조4000여억원으로 추산된다"고 말했다.


스팟뉴스팀 기자 (spotnew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스팟뉴스팀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