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정몽준, 격차 벌어진 이유 살펴보니...
인천시장, 중앙일보 조사에선 새누리 매일경제 조사에선 송영길 우세
박원순-정몽준, 중앙일보 45.6%대 39.2% 매일경제 12.3%p 차
6.4 지방선거 최대 접전지인 서울·인천·부산지역에서 여야 후보가 오차범위 내 접전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지사 선거에서는 남경필 새누리당 후보가, 충남지사 선거에서는 안희정 현 충남지사가 독주 양상을 보였다.
‘중앙일보’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 1일부터 5일까지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에서는 박 시장이 정몽준 새누리당 후보를 45.6% 대 39.2%, 6.4%p 차로 앞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차 조사(3월 15일) 때의 지지율 격차인 0.4%p(정 후보 42.1%, 박 후보 42.5%)와 비교해 격차가 더 벌어졌다.
새누리당에서 김황식 후보가 나설 경우에도 박 시장이 47.0%대 28.7%로 앞섰다. 새누리당 당내 후보 지지율은 정 후보(38.9%), 김 후보(16.8%), 이혜훈 후보(7.3%) 순으로 이전 조사와 비슷했다.
경기에서는 남경필 후보의 우세가 지속되고 있다. 남 후보(46.3%)는 김상곤 새정치민주연합 후보(24.6%)와 가상 대결에서 21.7%p 차로 앞섰으며, 김진표 후보, 원혜영 후보와 가상대결에서도 각각 42.8% 대 26.9%, 47.6% 대 21.3%로 우세를 보였다. 지지율 격차는 지난 3월 6일 1차 조사 때보다 더 벌어졌다.
인천시장 선거에서는 새누리당 후보가 누가 나오더라도 송영길 현 인천시장을 근소한 차이로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송 시장은 안상수 새누리당 후보(35.5% 대 37.6%), 유정복 후보(34.8% 대 38.0%)와 가상대결에서 모두 오차범위 내 열세를 보였다.
비수도권 최대 격전지로 부상한 부산에서는 오거돈 무소속 후보를 포함한 3자대결로 치러질 경우 서병수 새누리당 후보가 우세했으나, 오 후보가 야권 통합후보로 나설 경우에는 오차범위 내 접전이 예상됐다.
먼저 3자대결에서는 서 후보가 37.0%로 오 후보(24.2%)와 김영춘 새정치연합 후보(10.8%)를 오차범위 바깥에서 앞서나갔다. ‘모름·무응답’ 비율은 25.7%로 조사됐다. 반면, 오 후보가 야권 단일후보가 될 경우에는 두 후보의 지지율이 오차범위 내(서 후보 40.3%, 오 후보 38.6%)로 좁혀졌다.
충청권에서 대전은 박성효 새누리당 후보, 충남은 안희정 지사가 각각 우세했고, 충북은 이시종 현 충북지사와 윤진식 새누리당 후보가 오차범위 내 접전을 벌였다.
대전의 경우 박 후보가 권선택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를 41.9%대 27.0%로, 충남에서는 안 지사가 정진석 새누리당 후보를 45.4% 대 29.1%로 각각 앞섰다. 충북지사 가상대결에서는 이 지사(38.0%)가 윤진식 새누리당 후보(31.4%)를 6.6%p 차로 앞섰다.
‘매일경제’가 메트릭스에 의뢰해 지난 3일부터 5일까지 실시한 여론조사 역시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지지율 격차가 더 벌어지거나 오차범위 내에서 순위가 뒤바뀌었다.
서울에서는 박 시장이 정 후보를 49.3%대 37%에 그친 정 후보를 12.3%p 차로 앞섰다. 같은 기관의 3월 조사에서 박 시장과 정 후보는 47.1% 대 40.7로 오차범위 내 격차를 보였었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새누리당의 텃밭인 강남4구에서도 박 시장이 정 후보보다 45.2% 대 44.1%로 앞선 것으로 조사됐다.
인천시장 가상대결에서는 송 시장(39.6%)이 유 후보(36%)를 오차범위 내에서 앞섰다. 3월 같은 조사에서도 두 사람은 39.2% 대 39.1%로 초박빙이었다.
반면, 경기지사 가상대결에서는 남 후보가 새정치민주연합 예비후보들을 모두 10%p 이상의 격차로 앞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 후보는 김진표 후보와 가상대결에서 45.2% 대 35.2%로 앞섰으며, 김상곤 후보와의 대결에서도 47.7% 대 35.4%, 원 후보와의 대결에서도 48.0% 대 30.9%로 각각 우세를 보였다.
부산에서는 오 후보가 야권 단일화에 성공했을 때, 서 후보와 38%와 41.2%로 접전을 벌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앙일보-한국갤럽 조사의 표본은 서울·경기·인천·부산·대전지역에서 집전화 400명과 휴대전화 DB 400명 등 각 800명씩, 충남·충북·강원지역에서는 집전화 500명과 휴대전화 DB 300명 등 각 800명씩으로 구성됐다.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 ±3.5%p였으며, 조사지역 전체의 응답률 평균은 31.5%였다.
매일경제-메트릭스 조사는 서울·경기·인천·부산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 각 600명식을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4%p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