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다음주 초 후임 국정원장과 안보실장 발표할 것으로 보여
남재준 국가정보원장과 김장수 국가 안보실장이 전격 경질되면서 새롭게 구성될 제2기 외교안보라인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아울러 총리 인선이 마무리되면 곧 바로 내각의 전면적인 개각과 함께 청와대 비서진 교체도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먼저 남재준 국정원장이 군 출신이었다는 점을 감안해 이번 후임 인선은 군 출신보다 법조인이나 외교관 출신이 집중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근혜정부 들어 육군 참모총장 출신들이 국정원장과 국가 안보실장 등을 역임하면서 대북안보 등에 큰 능력을 발휘하지 못했다는 평가다.
이 때문에 민간 출신인 권영세 주중대사, 이병기 주일대사, 황교안 법무부 장관, 김회선 새누리당 의원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중 가장 유력하게 검토되는 인사는 황 장관과 이 주일 대사로 두 명 모두 박 대통령의 신임이 두터운 인물들이다.
황 장관은 대표적인 공안 검사 출신으로 국가보안법 해설서를 출간할 정도로 공안 업무에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고 있다. 2005년 서울중앙지검 2차장 시절에는 국정원 불법도청 의혹 사건을 수사하며 능력을 인정받은 바 있다.
이 주일대사는 외교관 출신으로 2007년 박 대통령의 당내 대선후보 경선 캠프에서 선거대책부위원장을 지낸 바 있어 가장 유력시 되는 인물이다. 또 지난 대선 당시에는 새누리당의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소에서 고문을 맡아 여당의 안보정책에 관한 자문을 했고 안기부 2차장도 역임해 국정원 내부를 잘 아는 인물이다.
여기에 국회 정보위원장을 지낸 권영세 주중대사와 김회선 새누리당 의원 등도 물망에 오르고 있다.
김장수 국가안보실장 후임으로는 군 출신과 외교관 출신이 함께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국정원장과의 안배가 안보실장 인선의 중요한 고려 요소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
먼저 후임 국가안보실장에는 김관진 국방부 장관과 김재창 전 한미연합사 부사령관, 김상희 전 청와대 국방보좌관, 한민구 전 합참의장 등이 거론되고 있다.
김 국방장관은 한번 써본 사람은 또 쓴다는 박 대통령의 인사 스타일을 감안할 때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특히 김 국방장관은 2010년부터 4년 가까이 국방장관을 지낸 점을 들어 수평배치가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한편 국가안보실장과 국정원장 후임 인선은 22일 사표 수리를 발표하기 이전부터 작업이 진행돼온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은 22일 발생한 북한의 연평도 도발 등 대북 환경이 악화되고 있어 이르면 다음주 초에 후임 국정원장과 안보실장을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안대희 국무총리 후보자 인선이 마무리되는 대로 안 후보자의 제청을 받아 내각의 대폭적인 개각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 청와대 비서진들도 소폭에서 중폭까지 교체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