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자르 결장? 대전제 벨기에 파훼법 있나
최종 벨기에전 최소 2골차 이상 승리해야 16강 희망
두꺼운 수비에 날카로운 역습 전략에 2경기 말려들어
자력 우승은 이미 물 건너갔지만 벨기에전에서 실낱 같은 희망은 엿볼 수 있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한국 월드컵 축구대표팀은 23일(한국시간) 브라질 포르투 알레그리에서 열린 알제리와 ‘2014 브라질월드컵’ H조 2차전에서 2-4로 패하면서 조 최하위로 내려앉았다.
이제 한국 앞에 있는 상대는 벨기에. 벨기에는 이날 러시아에 1-0으로 이기고 2연승, 일찌감치 16강 진출을 확정지었다. H조에서 가장 강한 상대와 맞붙는다는 점에서 16강으로 가는 길이 가시밭길이 됐다.
한국은 벨기에전 패배는 말할 것도 없고 무승부에 그쳐도 16강에 오르지 못한다. 반드시 벨기에를 2골차 이상으로 따돌리고 러시아-알제리전 결과를 지켜봐야 한다. 러시아가 알제리에 패하지만 않는다면 희망의 불씨는 꺼지지 않는다. 한국과 러시아가 나란히 이긴다면 골득실로 16강 진출팀을 가린다. 벨기에 다득점도 필요하다.
경우의 수를 따지고 또 따져도 16강 진출은 어려운 상황이다. 그나마 희망을 걸어볼 수 있는 것은 한국이 후반에 알제리를 상대로 거세게 밀어붙여 2골을 뽑아냈다는 점이다. 전반에 너무 뒤로 물러서다 슈팅 하나 없이 3골을 내준 것이 패인었다. 후반 거세게 밀어붙였던 것을 떠올리면 벨기에전에 기대를 걸어볼 수 있다.
또 아자르-루카쿠 등의 출현으로 ‘황금시대’를 열어젖히며 시드국으로 부상한 벨기에 전력이 우려했던 것보다는 강하지 않다는 점이다. 벨기에가 2연승을 달릴 수 있던 것도 알제리와 러시아가 한 수 아래의 팀이라 가능했다. 특히, 벨기에는 알제리전에 이어 러시아의 수비 위주 운영에 고전했다. 좌우 측면 풀백의 오버래핑이 부족한 것도 아자르 등 측면 공격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불러왔다.
벨기에는 1차전에서도 수비를 탄탄하게 하고 역습으로 나서는 알제리를 맞아 선제골(PK)을 내주는 등 어려운 경기를 펼쳤다. 러시아전도 마찬가지였다. 러시아는 이날 경기에서 기본 포백에 미드필더 1명을 아래로 끌어내려 사실상 ‘5백’을 세웠다.
알제리전처럼 러시아전 역시 수비를 탄탄하게 하고 역습으로 나오니 날카로움이 떨어졌다. 아자르 돌파에 이은 골이 아니었다면 러시아전 승리도 없었다. 한국으로서는 이런 팀을 상대하는 것이 오히려 편할 수도 있다.
아르헨티나에서 리오넬 메시, 포르투갈에서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없이 안 되듯 벨기에도 아자르 없이는 제대로 경기를 풀어가지 못했다. 힘겹게 선제 결승골을 넣은 것도 아자르에 대한 수비가 다소 풀어졌기에 가능했다.
2경기 연속 풀타임 활약한 아자르도 “피로가 누적된 것은 사실이다. 감독이 최종전에 선발 기용할 것인지는 아직 모르겠다”고 말했다. 실제로 러시아전을 승리로 마친 빌모츠 감독은 경기 후 공식 기자회견에서 "경고를 안고 있는 선수도 있어 다음 경기를 생각해야 한다. 한국전에서는 몇몇 선수들에게 휴식을 주고 그동안 뛰지 못했던 선수들에게 출전 시간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벨기에 선수 중 현재 경고를 받은 선수는 총 3명이다. 얀 페르통언이 알제리와의 1차전에서 경고를, 러시아전에서 악셀 위첼과 토비 알데르바이럴트가 경고를 1개씩 받았다. 자칫 한국전에서 경고를 더 받게 되면 16강서 차질이 생기는 만큼 선수를 아끼겠다는 판단이다.
물론 한국 수비가 알제리나 러시아처럼 강하지 않다. 러시아전에서는 비교적 탄탄한 수비력을 보여줬지만 알제리전에서는 다시 한 번 중앙 수비가 뚫리며 4골을 얻어맞았다. 하지만 러시아전에서 보여줬던 탄탄했던 수비력만 회복하고 알제리전 후반 선보인 몰아치기가 나온다면 벨기에를 기적처럼 꺾을 수도 있다.
한편, 한국-벨기에전과 알제리-러시아전은 오는 27일 오전 5시부터 일제히 킥오프 한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