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우도 김태호도 "김기춘 책임면키 어려워"
김영우 "책임을 면하긴 어렵다" 김태호 "부실검증에 책임 있어"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의 자진사퇴로 청와대 인사위원장을 맡았던 김기춘 비서실장에 대한 비판 여론이 새누리당 내부에서도 조금씩 흘러나오는 모양새다.
안대희 전 대법관에 이어 문 후보자까지 ‘인사참사’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김 실장의 향후 거취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영우 새누리당 의원은 이날 YTN 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에 출연, “일단 책임을 완전히 면하긴 어렵다”며 “전 과정에서 청와대가 수수방관한 측면이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김 의원은 “지명만 해놓고 거기에 대한 특별한 배경 설명이 취약했다”며 “책임을 맡는 분도 책임을 면하기 어렵지 않을까”라고 덧붙였다.
한편 김 의원은 이번 문 후보자 사퇴에 대해 “여러가지 의혹에 대해 충분한 토론과 논쟁이 없었다고 본다”며 “의혹만 가지고 청문회 절차를 밟지 못하는 상황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김태호 새누리당 의원도 이날 평화방송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서종빈입니다’에 출연, “(김기춘 비서실장도) 책임으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다”며 “또 제도 자체도 근본적인 손질을 봐야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부실검증을 한 책임도 있지만, 근본적인 제도 변화를 솔직하게 털어놓고 고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또 새누리당 당권 주자들이 문 후보자에 대해 자신사퇴를 촉구한 것에 대해 “성급하고 부적절했다”며 “민주적 절차에 의해서 충분하게 판단할 수 있는 기회가 있고, 인준절차와 표결절차에 반영시키면 된다”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대통령을 뽑을 때 정·부통령으로 해서 임기를 보장해야 된다고 생각한다”며 “사실상 책임총리로서의 대통령 권한도 어느 정도 견제하고, 책임총리 같은 부통령제를 도입하는 것이 좋다”라고 말했다.
한편 당권에 도전한 홍문종 의원은 ‘한수진의 SBS전망대’에 출연해 “사실은 책임을 진다면 KBS가 져야된다”며 “김 실장이 발탁하는데 있어서 무슨 잘못이 있었나, 한번 따져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홍 의원은 특히 “청문회 자체가 좋은 사람을 고르기 어려운 시스템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무슨 일이 있을 때마다 비서실장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