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관식 미룬 메시…4년 뒤 재도전 가능할까
독일과의 결승에서 끝내 무득점 침묵
최근 들어 눈에 띄는 폼 하락 및 부상
축구 천재 리오넬 메시(27·아르헨티나)의 황제 대관식이 마지막 문턱에서 좌절되고 말았다.
아르헨티나는 14일(한국시각) 브라질 리우 데 자네이루 마라카냥 경기장서 열린 ‘2014 브라질 월드컵’ 독일과의 결승에서 연장 후반 마리오 괴체에게 결승골을 얻어맞으며 아쉽게 0-1 패했다.
이로써 아르헨티나는 디에고 마라도나가 이끌던 1986년 멕시코 월드컵 이후 28년 만에 우승을 노렸지만 통한의 준우승에 그치고 말았다. 반면, 당시 준우승팀이었던 독일은 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 이후 24년 만에 우승 감격을 누리며 유니폼에 네 번째 별을 달았다.
특히 이날 결승전은 메시에게 스포트라이트가 집중된 경기였다. 만약 우승을 차지했더라면 펠레-마라도나의 계보를 잇는 새로운 축구황제의 탄생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결과는 준우승이었고, 대회 MVP인 골든볼을 수상하고도 메시의 표정은 심드렁 그 자체였다.
선수로서 월드컵을 제외하고 모든 것을 가진 메시였다. 특히 클럽 커리어에서는 역대 최고라는 수식어가 아깝지 않은 메시다. 메시는 사상 최초로 발롱도르를 4회 연속 수상한 선수이며 2012년에는 73골 29어시스트로 유럽 축구 역사상 처음으로 한 시즌 공격 포인트 100 이상을 기록하기도 했다.
그런 그에게 마지막 숙원은 월드컵이었다. 2006년 독일월드컵부터 벌써 세 번째 월드컵 도전이지만 우승만큼은 쉽지 않았다. 메시보다는 아르헨티나의 팀 전력 자체가 경쟁팀들에 비해 뒤처졌고, 2010 남아공 월드컵에서는 독일과의 8강에서 0-4 대패로 물러나기도 했다.
이번 브라질 월드컵은 하늘이 내린 기회였다. 청소년 대표팀 시절부터 손발을 맞춰왔던 세르히오 아게로, 앙헬 디 마리아 등과 함께 팀을 이끈 메시는 4골-1도움을 기록했고, 특히 조별리그 3경기부터 16강까지 4경기 연속 MOM(Man of the Match)로 선정되는 기쁨까지 누렸다. 그러나 마지막 관문인 독일과의 결승에서 주저앉고 말았다.
이제 메시는 4년 뒤 러시아 월드컵을 기약해야 한다. 하지만 여전히 우승은 쉽지 않아 보인다. 아르헨티나는 메시 이후 눈에 띄는 유망주가 나오지 않는데다 이번 대회 수비의 축을 이룬 대부분의 선수들이 적지 않은 나이로 다음 대회 출전이 어렵기 때문이다.
메시 본인도 최근 들어 경기력 저하가 눈에 띄고 있다. 소속팀인 바르셀로나에서 여전히 비교 불가의 골을 몰아치고 있지만 잦은 부상과 함께 활동량이 서서히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4년 뒤에는 메시도 30대 나이에 접어들어 지금과 같은 폭발적인 드리블에 의한 스피드를 유지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메시는 현 시대 최고의 선수에서 전설로 가기 위한 마지막 문턱에서 미끄러지고 말았다. 더불어 자신의 우상이자 아르헨티나 축구의 아이콘인 마라도나를 넘어서는데도 실패하고 말았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