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병언 사체' 박근혜정부 세월호 정국 모멘텀될까
전문가들 "세월호 초점 유병언 개인서 근본 문제로 환원"
"유병언 사체 발견 자체 믿지 못하는 건 이해할 수 없어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으로 밝혀진 사체가 22일 발견되면서 박근혜 정부의 향후 국정운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이후 박근혜 대통령 등 현 정부는 이번 사건의 1차적인 책임이 유병언씨에게 있다며 대대적인 검거작전에 들어갔지만 결국 유 씨를 잡지 못해 비난을 받은 바 있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유씨의 사체가 발견된 것에 대해 국가의 근본적인 개혁에 있어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는 이제 세월호 참사의 초점이 유병언이라는 자극적인 관심사에서 국가대개조 등 좀 더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관심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세월호 참사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에 더 집중할 수 있어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평가다.
박상철 경기대정치전문대학원 교수는 이날 데일리안과의 통화에서 "세월호 참사의 근본적인 문제는 국가대개조 등인데 자꾸 유병언에게 초점이 맞춰지는 것은 큰 문제였다"며 "이제는 유병언 한 개인의 문제로 보는 것보다 국가 체제의 근본적인 변화에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박 교수는 "여야도 이제는 정부조직법, 세월호 특별법 등에 더 집중해 이번 참사에 대한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해결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도 이러한 의견에 대해 "전적으로 동감한다"며 "이번 사건은 국가대개조 등 큰틀에서 바라보고 문제를 해결해야 할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신 교수는 "유 씨가 죽었다고 해서 유 씨 일가에 대한 문제가 완전히 사라졌다고 볼 수는 없다"고 평가하고 유 씨의 아들과 형 등에 대한 수사가 계속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특히 이번 유 씨 사체 발견과 관련해 국민들이 사건 자체를 믿지 않고 있는 분위기가 확산되는 것과 관련해 신 교수는 "40일 동안 유 씨 사체를 확인하지 못한 경찰과 검찰이 스스로를 바보라고 말하는 꼴이 되는 상황인데 그걸 조작이라고 이야기할 수는 없다"고 역설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유 씨가 사체로 발견되면서 세월호 참사에 대해 1차적인 책임을 물을 수 있는 인물이 사라져 현 정부에 대한 책임론이 더욱 커질 수도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이번 참사는 어느 한 사람에게만 책임을 지울 수 있는 성질의 문제가 아니라고 강조했다.
이정희 외대 교수는 "세월호 참사는 유병언만 잡으면 모든 게 해결되는 것이 아니다"며 "관피아 문제, 해경 문제 등이 더 큰 문제이기 때문에 박 대통령도 국가대개조를 이야기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 아니겠느냐"고 강조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