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자사고 일선 교사의 하소연 "자사고가 희생양인가"


입력 2014.07.29 18:06 수정 2014.07.29 18:12        목용재 기자

자사고 교사 "다양성 시대에 외려 자사고 도와줘야"

자사고교장협 "자사고 탄압 부당 행위에 강력 연대"

29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호텔에서 김용복 배재고 교장 등 전국 자율형사립고등학교장 연합회 회원들이 최근 진보 교육감들의 자사고 축소 및 취소 움직임에 대한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이날 전국자사고교장연합회는 자사고를 탄압하는 일체의 부당한 행위에 강력히 연대하여 대처하기로 결의했다. ⓒ데일리안 홍효식 기자

"일반고등학교가 우리나라 고등학교의 뿌리인 것은 이해하지만 꼭 자사고를 폐지해야만 일반고등학교가 살아날 것이라는 주장에는 동의하기 힘들다. 모든 교육 문제가 자사고에 집중돼 마치 속죄양이 된 기분이다." (서울 내 자율형사립고등학교 일선 교사)

고등학교 교육의 모든 문제가 자율형사립고등학교(자사고)에 집중돼 있다는 진보 교육감들의 주장에 대해 자사고 교장들과 일선 교사들이 분개하고 있다. 일부 지역의 교육감들은 이미 자사고 재지정 평가가 끝난 학교에 자사고 재지정을 취소하거나 조건부 재지정 입장을 밝히는 등 ‘자사고 죽이기’에 나서고 있다.

고등학교 교육의 근본적인 문제는 방치한 채, 자사고를 마치 고등학교 교육계의 근원적인 문제로 규정하는 ‘마녀사냥’식 행위에 대해 자사고 교장들과 일선 교사, 학부모들은 분노를 하고 있다.

서울시내 A자사고의 한 교사는 29일 ‘데일리안’과의 통화에서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점으로 획일화를 많이 꼽고 있다. 다양성이 중시되는 시대에서 자사고가 자리 잡도록 주변에서 도와줘야 하는 것 아닌가”라면서 “자사고의 좋은 모델들은 주변의 일반 고등학교도 벤치마크하는 등 선순환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 교사는 “많은 학교들이 특성화, 계열화되가고 있는 상황에서 일반고 학생, 학부모들의 심정은 이해가 가지만 이런 문제들이 모두 자사고 때문이라는 식으로 자사고를 속죄양처럼 여기는 것은 동의할 수 없다”면서 “학부모들도 답답하다는 얘기가 많다. 일반고 교육비의 3배를 지불하면서 교육을 시켰는데 폐지 얘기가 나오니 허탈하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내 B자사고의 교사도 “교육감이 새로 취임했다고 자사고 재지정평가를 새로운 항목으로 한다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면서 “새로운 항목으로 또 다시 재지정평가를 한다면 일선 교육현장에 혼선·혼란을 불가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이날 전국자사고교장협의회는 서울 프레지던트호텔에서 “서울에 있는 자사고 25개교를 포함한 전국 51개 학교는 이후 자사고를 탄압하는 일체의 부당한 행위에 강력히 연대하여 행동을 함께 할 것”이라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 자리에서 김용복 전국자사고교장협의회 회장은 “진보교육감들은 일반고 살리기를 빙자한 자사고 말살정책을 즉각 중지하라”면서 “진보 교육감들은 자사고를 교육실패에 희생양으로 삼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회장은 “진보 교육감들은 사학의 자율권을 보장하고 각종 협박으로 2015학년도 신입생 모집을 방해하지 말라”면서 “전국 자사고의 다양한 선발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전국자사고교장협의회는 안산 동산고에 대한 자사고 재지정을 취소한 이재정 경기교육감을 비판하고 광주 송원고에 자사고 조건부 재지정 입장을 밝힌 장휘국 광주 교육감에 대한 비난의 강도도 높였다.

전국자사고교협의회 측은 이날 성명을 통해 "지난 6.4지방 선거를 통해 대거 진출한 진보 교육감들로 인해 불안해하는 국민에게 진보교육감들은 교육에는 진보와 보수가 없다고 말한지 불과 두 달"이라면서 "그러나 전교조 전임자 처리, 자사고 재지정 문제를 보면 앞으로 학교는 정권의 향배나 교육감의 성향에 따라 눈치나 보며 줄을 서야하는 상황이 됐다"고 말했다.

이어 "교육감들은 일반고 황폐화 원인으로 자사고를 지목하고 있다"면서 "이는 사학의 자율성이 커지면서 학교와 학생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려는 정치적인 목표가 축소되는 것을 우려하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전국자사고학부모연합회가 "3차 (자사고 재지정) 평가는 폐지를 위한 평가"라는 입장을 밝힌 가운데 30일 조희연 서울시교육감과 간담회를 갖고 자사고 정책에 대한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목용재 기자 (morkka@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목용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