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의 7시간' 세월호 보고 시시각각 받았다
박 대통령 청와대 경내에서 총 21회 20~30분마다 상황보고 받아
청와대는 지난 4월 16일 세월호 침몰 당시 박근혜 대통령의 ‘7시간 행적’과 관련, 줄곧 청와대 내부에 머무르면서 매 20~30분마다 수시로 상황보고를 받았다고 13일 밝혔다.
청와대는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사고와 관련해 대통령은 어디에 계셨으며, 언제, 어떤 보고를 받고, 어떤 지시를 했는지 답변 바란다’는 조원진 새누리당 의원의 질의에 대해 서면을 통해 이같이 설명했다.
세월호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의 새누리당 간사를 맡고 있는 조 의원이 이날 공개한 서면 답변서에서 청와대는 “대통령은 행정부의 수반이며 국가원수이기 때문에 경호 필요상 역대 어느 정부에서도 대통령의 위치와 동선은 언제나 누구에게나 비밀로 해 공개하지 아니 해 왔다”고 주장했다.
청와대는 “대통령은 경내에 계시면 어디서든지 보고를 받고 지시를 할 수 있도록 돼 있다”면서 “대통령은 아침에 기침해 저녁에 취침할 때까지가 근무시간이며, 가족이 없는 우리 대통령은 가족과 휴식하는 이른바 사생활이란 없으며, 경호관과 비서관이 언제나 근접 경호하고 수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고 당일 ‘7시간의 행적’에 대해서는 “청와대 밖의 외부 행사가 없어 줄곧 청와대 경내에 계시면서 거의 20~30분 간격으로 21회에 걸쳐 유선 또는 서면보고를 받으시고 필요한 지시를 했다”고 주장했다.
청와대가 서면답변서와 함께 별첨한 ‘시간대별 대통령에 대한 보고 및 대통령의 조치 사항’에는 안보실에서 서면(3회)과 유선(7회)으로 총 10회, 비서실에서 서면으로 11회 등 총 21회의 보고를 받았다고 설명돼 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박근혜 대통령은 오전 10시 안보실장으로부터 ‘구조 인원수와 구조 세력 동원 현황’에 대한 최초 보고를 받았다. 15분 뒤에는 유선을 통해 “단 한명의 인명 피해도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안보실에 지시했고, 안보실에서는 10시 22분에 다시 2차 보고를 진행했다.
이후 오전 10시 36분 비서실(정무수석실)의 서면 보고를 시작으로 △10시 40분 안보실 서면 2차 보고 △10시 57분 비서실 서면 2차 보고 △11시 20분 안보실 서면 3차 보고 △11시 23분 안보실 유선 3차 보고가 이어졌다. 11시 28분부터 13시 7분까지는 비서실에서 총 4차례의 서면보고를, 13시 13분부터 14시 57분까지는 안보실에서 4차례의 유선보고를 각각 올렸다.
이후 15시 30분 비서실 서면 7차 보고를 통해 ‘구조인원 166명으로 정정’ 보고를 했으며, 17시 11분에 비서실에서 8차 보고를 실시했다. 박 대통령은 잠시 뒤인 17시 15분에 김기춘 비서실장으로부터 “많은 승객들이 아직 빠져 나오지 못한 것으로 알고 있다. 생존자를 빨리 구출할 것”이라는 구도 보고를 받았다.
다시 20시 6분부터 22시 9분까지 비서실로부터 3차례의 서면보고가 이어졌으며, 박 대통령은 다음날인 17일 진도 현장을 방문했다.
청와대는 “대통령은 사고 초동대응 단계에서 현장 지휘와 구조활동이 회의 개최보다 중요하다고 판단했고, 안보실과 비서실로부터 매 20~30분마다 수시로 상황보고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별도의 회의를 개최하지 않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참모들도 사고발생 직후 구조 세력이 총동원돼 구조하고 있는 상황에서 별도의 대통령 주재 대책회의보다는 신속한 구조 및 수습이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이를 위해 사고 현장의 구조세력 동원 및 구조활동 상황을 파악하는데 주력했다”고 설명했다.
박 대통령이 국가안보실 위기관리센터를 방문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도 “당시 국가안보실장이 위기관리센터에 상주하고 있었고, 사고 초기 긴박한 상황에서 대통령께서 위기관리센터를 방문하실 경우 브리핑 준비, 의전 등의 이유로 오히려 신속한 상황 파악에 지장을 초래할 가능성을 우려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