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경근 "흥정 아니다" 김재원 "무슨 목적인가"
새누리당·유가족 대책위, 라디오서 3차 회동에 상반된 견해 밝혀
지난 1일 세월호 특별법 제정과 관련해 이완구 원내대표를 비롯한 새누리당 지도부와 세월호 유가족 대표단이 3차 면담을 가졌지만, 양측이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정면으로 충돌하면서 별다른 성과 없이 30분 만에 결렬됐다.
이에 2일 오전 유경근 세월호 참사 가족대책위원회 대변인과 김재원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가 MBC 라디오에 차례로 출연, 여당과 유가족 대책위 간의 세 번째 회동에 상반된 견해를 밝혔다.
유 대변인은 전날의 면담 분위기를 묻는 질문에 “(새누리당 측에서) ‘더 이상 아무것도 양보할 수가 없다, 무엇을 더 달라는 이야기냐’라고 격앙되게 말했다”며 “그러면 굳이 이 자리에 앉아 진전도 없는 대화를 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고, ‘이용만 당하는 것 아니냐’는 생각들이 많이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항상 법안의 내용을 가지고 법리적으로 해석하면서 무엇을 더 줘야 되나 말아야 되나 이런 말을 했다”고 지적하며 “우리는 흥정을 하러 간 게 아니다”고 강조했다.
진상규명을 위해서는 제도적인 준비도 필요하지만, 진상을 규명하기 위한 구성원들이 철저한 의지를 가지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는 게 가족대책위 측 설명이다.
또 진상조사위원회에 수사권과 기소권을 부여하는 기존 원칙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세웠던 그 원칙을 한 번도 철회한 적도 없고 후퇴한 적도 없다”면서도 “여당과 야당에서 또 다른 진상규명의 방안이 있다면 언제든지 대화를 할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울러 유 대변인은 “세월호 참사 이후 여야가 공통적으로 이 문제는 당리당략의 대상이 아니라고 말했지만 국정조사도 특별법 논의도 항상 그 안에 당리당략이 들어가 있었다”고 지적하며 “정말 국민의 입장에서 이 문제를 하루 빨리 해소하고 규명을 해나갈 수 있도록 한 목소리로 토의해주셨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그러나 김재원 원내수석부대표는 “고압적이었다고 하면 우선 저희들은 받아들일 수가 없는 상황”이라며 가족대책위 측과는 상반된 입장을 피력했다.
그는 “‘여러 방안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자’해서 돌아간 분들이 갑자기 더 진전된 안을 내놓지 않으면 대화가 없다고 이야기하고 더 나아가서 수사권과 기소권이 주어져야 된다는 주장을 반복하면 어떻게 이야기가 되겠느냐고 말한 것”이라면서 “이를 두고 대화의지가 없다 하면 처음부터 무슨 목적으로 왔는가 오히려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김 원내수석부대표는 “처음부터 자신들의 일방적인 주장만 하고 ‘여당이 양보해라, 양보하지 않으면 대화는 없다’ 이렇게 이야기만 해서야 무슨 대화가 있겠느냐”고 반문하며 가족대책위 측에서 좀 더 진정성 있는 대화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유가족과의 협의를 계속 진행할 계획이냐”는 사회자에 질문에 그는 “당연히 진행돼야 한다”면서도 야당과의 재재협상에 대해서는 “야당과 새로운 협상을 한다든가 저희들이 새로운 안을 낸다든가 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
한편, 정의화 국회의장이 직접 나서 여야 원내대표와 세월호 유가족 간의 3자 협의를 중재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 김 원내수석부대표는 “지금 여당과 야당, 또 여당과 유가족 간에 많은 대화가 있었고 그 과정에서 사실 여러 가지 사정이 있는데 그 내용을 잘 모르시는 의장께서 독자적인 안을 낸다면 분란만 가속화 시킬 가능성도 있다”며 “신중하게 접근하셨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일축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