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풍 환자가 40대 이상 중년 남성을 중심으로 꾸준히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통풍 진료인원은 2009년 20만1665명에서 지난해 29만2109명으로 5년간 44.8%, 연평균 9.7%씩 증가했다.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도 같은 기간 연평균 8.9%씩 늘었다.
성별로는 남성이 여성보다 많았다. 지난해의 경우 남성 환자가 26만 6378명으로 여성보다 10배 이상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70세 이상이 인구 10만 명당 1273명으로 가장 많았고, 60대, 50대, 40대 순으로 나타났다.
통풍은 혈액 내에 요산이 증가하면서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요산이 함유된 음식을 많이 먹거나 신장으로 배설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요산 수치가 올라간다.
특히 통풍의 최대 적은 알콜이었다. 술은 몸 안에서 요산이 많이 만들어지게 하고 소변으로 요산이 배설되는 것을 방해해 통풍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여성의 경우 여성호르몬이 요산수치를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어 폐경기 전의 여성에서는 통풍이 잘 생기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