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3분기 결국 '반토막'… 4분기 전망은?
메모리 사업 선방 불구 스마트폰 부진에 '어닝쇼크'
4분기 계절적 성수기에도 IM부문 불확실성 지속될듯
삼성전자가 3분기 실적에서 '어닝쇼크'를 기록하며 위기에 대한 우려가 현실이 됐다. 이에 따라 이어질 4분기 실적 개선 여부에 업계의 촉각이 쏠리고 있다.
7일 삼성전자는 공시를 통해 올해 3분기 매출 47조원, 영업이익 4조1000억원을 기록했다고 잠정실적을 발표했다.
이번 3분기 매출은 지난 2분기 대비 10.22%, 전년 동기 대비 20.45% 감소한 수치다. 영업이익 역시 지난 2분기 대비 42.98%, 전년 동기 대비 무려 59.65% 하락한 것으로 업계에서 우려했던 삼성전자의 위기가 현실로 드러났다.
삼성전자의 매출이 50조원대 밑으로 떨어진 것은 지난 2012년 2분기 47조6000억원 이후로 8분기만이다. 영업이익 역시 5조원 아래로 내려간 것은 지난 2011년 4분기 4조6700억원을 기록한 이후 11분기만이다.
이같은 실적은 증권업계 예측보다도 저조한 성적이다.
금융정보업체 애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최근 한달간 22개 증권사가 전망한 삼성전자 매출 예상치는 49조6052억원, 영업이익은 4조4756억원이다. 일부 증권업체에서 예상한 3조원대 영업이익은 가까스로 면했지만 업계의 평균 예상치보다 밑도는 수준의 실적을 기록한 셈이다.
삼성전자는 이번 3분기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무선 사업 실적 큰 폭 감소 △무선 제품 수요 약세에 따른 시스템LSI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사업 수익성 약화 △TV 판가 하락과 계절성 제품 성수기 조기 종료 등을 꼽았다.
또 공격적인 마케팅 비용 집행도 마진 축소의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특히 지난해 영업이익의 70%까지 차지했던 스마트폰 사업 등 IT·모바일(IM) 부문의 부진이 가장 큰 악재로 작용했다. 최근 프리미엄 제품군을 중심으로 한 시장 성장세의 둔화와 함께 중국 업체들의 성장세, 애플 등 경쟁사들의 신제품 출시 등으로 수익성이 큰 폭 하락하며 2조원 안팎의 영업이익이 예상된다.
잠정실적에서는 부문별 실적은 공개되지 않지만 시장 전망치를 통해 영업이익을 분석해 보면 TV를 비롯해 생활가전 역시 부진한 성적을 얻은 것으로 보인다. 시장의 호조세를 힘입은 반도체 등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 영업이익은 2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돼 소비자가전(CE)부문의 영업이익은 미미한 수준일 것으로 풀이된다.
이같은 실적악화가 현실로 드러나자 이후 4분기 실적개선 여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증권가 및 관련 업계에서는 이번 3분기 저점을 통과해 4분기 소폭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우선 3분기 다른 사업부문에 비해 선방한 반도체 사업은 4분기에도 지속적인 호조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올해 D램 시장은 기업용 PC의 교체 시기와 맞물려 PC용 D램의 가격이 오르고 수요가 지속되는 등 호황을 누려왔다. 또 자동차를 비롯해 스마트폰, 산업용 기기등에 탑재되는 D램 수요도 계속 증가해 내년까지 성장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낸드플래시 시장 역시 최근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드(SSD)에 대한 수요 급증으로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다. 차세대 저장장치로 주목받고 있는 SSD는 낸드플래시를 기반으로 제작된다.
TV를 비롯한 생활 가전 역시 연말 성수기에 진입하면서 실적 개선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4분기는 블랙프라이데이를 전후해 최대 성수기로 진입하는 시즌이다.
다만 IM사업의 불확실성은 지속될 전망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갤럭시노트4 등 스마트폰 신제품 확판이 기대되나 경쟁사 스마트폰 신제품이 본격 출시되고 중저가 가격 경쟁이 심화될 것"이라며 "이에 따라 IM 사업 불확실성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함께 새로운 성장동력의 부재도 해결해야할 과제다.
증권업계에서도 삼성전자의 4분기 실적 개선에 대해 소폭 상승 수준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와이즈에프엔이 최근 한달 간 나온 25개 증권사들의 삼성전자 4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를 조사한 결과 평균 5조원 초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절반 이상의 증권사들은 4조원 중반대의 영업이익을 예상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