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 띄운 '반기문 대망론' 새정치련 계파갈등으로
친박계 김무성 견제 수단에서 반노계 문재인 견제 수단으로
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계 인사들이 불 붙인 ‘반기문 대망론’이 새정치민주연합 내 계파발등 논란으로 번지는 모양새다. 정작 반기문 UN 사무총장 측은 언론 대응자료를 통해 관련 보도 자제를 요청하며 대권론에 선을 긋고 있지만, 정치권은 저마다의 목적에 따라 반 총장의 거취를 놓고 ‘소설’을 쓰고 있다.
당초 반 총장 대권론은 친박계 인사들이 차기 대통령 선거 판세를 주제로 개최한 토론회에서 언급됐다. 차기 대권주자 지지도에서 김무성 대표, 김문수 보수혁신특별위원장, 정몽준 전 대표 등 비박(비박근혜)계 인사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마땅한 주자가 없는 친박계는 반 총장 카드를 꺼내들었다.
친박계가 반 총장을 띄우는 배경을 두고는 김 대표를 견제하기 위한 의도일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반 총장의 실제 대통령 선거 출마 여부와 상관없이, 여권의 대권주자로 반 총장이 뜰수록 김 대표의 입지는 줄어들 수밖에 없다. 친박계의 입장에서는 김 대표의 대항마를 물색하고 키울 여유가 생긴다.
하지만 반 총장의 측근들이 권노갑 새정치민주연합 상임고문에게 반 총장의 야권 출마 의사를 타진했던 것으로 최근 알려지면서, 반 총장의 거취 논란은 새정치연합으로 옮겨졌다.
이런 가운데 박지원 새정치연합 의원은 지난 4일 “일부 인사들이 반노(반(反)노무현) 신당을 창당하고 반기문 UN 사무총장과 함께하자는 이런 얘기를 한다”면서 “별로 (조직적으로) 움직이지는 않고 있는데, 아무튼 이러한 새정치연합 내 일부 인사들은 굉장히 부지런하게 움직이더라. 지방도 다니고”라고 말했다.
박 의원의 발언은 사실상 반노계 인사들의 분당 가능성을 인정한 것으로, 다른 측면에서는 반노계가 친노(친노문)계 수장인 문재인 의원을 견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반 총장을 띄우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일부’ 반노계 인사들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었으나, 현재까지 당내 상황으로 미루어 ‘구당구국(救黨救國)’ 모임을 이끌고 있는 정대철 상임고문과 정동영 상임고문이 창당 세력에 포함됐을 가능성이 크다.
이처럼 분당 발언이 당내 계파갈등 문제를 부각할 것이 충분히 예상되는 상황에서 박 의원이 굳이 공개발언을 택한 것은 당 분열을 조장하는 반노계에 대해 경고를 던지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실제 박 의원은 김대중 정신을 거론하며 “분당을 해서 신당을 창당하고, 이렇게 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지적했다.
한편, 반 총장의 대선 출마 여부를 둘러싼 논쟁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관측된다. 반 총장은 일반적으로 참여정부계 인사로 분류되지만, 반평생 외교관의 길을 걸어왔기 때문에 뚜렷한 정치색이 없다는 평가를 받는다. 같은 이유로 반 총장 대권론은 여야 모두에 상대 진영을 견제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다.
다만 차기 대선이 치러지는 2017년 반 총장의 나이가 우리 나이로 74세이고, 반 총장이 평소 정치와 거리를 둬왔다는 점에서 반 총장의 대선 출마는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반 총장이 대중적 인지도와 지지도만 높을 뿐, 정당 기반이나 정치경험이 없어서 실제 대선에 출마하더라도 당내 경선에서 승리할 가능성은 희박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