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박영선, 전대 캐스팅보트 '만지작 만지작'
7일 언론 인터뷰 시작으로 본격적인 당내 활동 기지개
계파·지역 기반 문제로 표 움직이는 데에는 한계
원내대표직 사퇴 2개월여 만에 본격적으로 정치활동을 재개한 박영선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내년 전국대의원대회에서 캐스팅보트 역할을 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박 의원은 지난 10월 비상대책위원장 인선 등을 둘러싼 당내 갈등으로 당직을 내려놓았지만 끊임없이 차기 당권주자로 거론되고 있다.
박 의원은 8일 자신이 대표를 맡고 있는 ‘한국적 제3의 길’ 주관으로 ‘왜 오픈 프라이머리인가’라는 주제의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에 앞서 박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전당대회 출마) 요구를 받고 있는 사실이지만, 아직 깊게 생각해보진 않았다”면서도 “여든 야든 국민에게 외면을 받지 않으려면 태산이 흙을 마다하지 않듯, 바다가 강물을 배척하지 않듯 모든 것을 다 받아들이고 변화해야 한다”며 전당대회 출마 가능성을 열어놨다.
박 의원은 원내대표직 사퇴 후 줄곧 입법 활동에 집중해왔다. 지난달 13일 언론에 재등장해 이른바 ‘이학수 특별법’ 입법을 예고한 박 의원은 같은 달 28일 외국인투자촉진법 재개정안을 발의했다. 또 소속 상임위원회인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는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의 저격수로 활약했다.
하지만 박 의원은 전날 조선일보와 인터뷰를 시작으로 연이틀 당내 현안과 관련해 목소리를 냈다. 전날에 이은 박 의원의 이날 행보가 당권 도전을 위한 포석으로 해석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특히 박 의원이 원내대표직을 사퇴했다고 해도 그의 측근들은 현재까지 당내 입지를 유지하고 있다.
박 의원의 사퇴 후 김성수 전 정무특별보좌역은 대변인으로, 박범계 전 원내대변인은 비선실세 국정농단 진상규명단장으로 각각 선임됐으며, 박 의원의 최측근인 김현미 의원은 최근까지 예산결산특별위원으로 활약했다. 또 다른 측근인 최명길 전 MBC 부국장은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의 정무특보로 활동 중이다.
관건은 2개월여 앞으로 다가온 전당대회에서 박 의원이 미칠 파괴력이다.
우선 박 의원이 전당대회에 불참한다면 현재 구도에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못 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특정 지역이나 계파를 지지기반으로 둔 인사들은 통상 전당대회에 불참하더라도 지지선언 등을 통해 다른 후보에게 표를 몰아주는데, 박 의원은 소수 측근들 외에는 마땅한 지지기반이 없기 때문이다.
박 의원은 과거 정동영 상임고문에 의해 정계에 입문했으나, 2007년 대통령 선거 이후에는 박지원 의원과 486계 의원들의 전폭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승승장구했다. 여기에 박 의원은 지역구가 서울인 데다 친노(친노무현)계 의원들과도 두루 친분을 유지하고 있어서 강성임에도 계파색이 옅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이 같은 점이 선거철에는 오히려 독으로 작용한다는 지적이다. 자신이 선거에 나설 때에는 친분을 바탕으로 개별 의원들에게 표를 호소할 수 있지만, 세력을 통째로 움직일 영향력은 없다는 것이다.
다른 변수는 박 의원이 당대표전에 뛰어들 경우이다.
하지만 현실적인 문제들을 고려할 때 박 의원의 전당대회 출마는 설(說)로 끝날 것이라는 시각이 많다. 경선이 계파별 대리전 양상으로 진행되면 박 의원이 확보할 수 있는 표가 제한되고, 박지원 의원의 표가 분산될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박지원 의원은 ‘박남매’로 불릴 만큼, 박 의원과 두터운 친분을 자랑한다.
또 박 의원이 후보 단일화 등의 방식으로 다른 후보에게 표를 몰아준다고 해도 박 의원의 지지기반이 약한 이유로 그 시너지는 크지 않을 전망이다.
한편, 새정치연합 전당대회 ‘룰’ 확정은 ‘정윤회 문건’ 파동으로 일주일 가량 연기됐다. 당 전당대회준비위원회는 12월 임시국회 긴급현안질의(16~17일) 이후인 다음주 주말께 미확정된 전당대회 일정과 경선 방식을 합의해 비대위에 보고할 예정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