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병헌 "'빅 2' 거취 결정후 전대 출마 입장 밝힐 것"
국회 출입기자단 오찬서 "당대표 경선, 차세대 지도자 뽑는 경연장 된다면 나도 일조할 것"
2.8 전국대의원대회 출마를 준비 중인 전병헌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26일 정세균 의원의 전당대회 불출마 선언에 대해 “심경의 변화가 없다면 거짓말”이라며 “(남은 박지원·문재인 의원) 두 분의 거취가 결정되면 나도 입장을 정리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당대표 출마와 최고위원 출마를 놓고 장고를 거듭 중인 전 의원은 이날 국회 출입기자들과 오찬 자리에서 이 같이 말했다.
다만 전 의원은 소위 ‘빅3(정세균·박지원·문재인)’로 불리는 전 비상대책위원 3인방의 불출마를 직접적으로 압박하지는 않았다.
그는 “당락 유무를 떠나서 당대표 경선이 차세대 지도자를 뽑는 경연장이 된다면 나도 일조를 해야 한다는 생각”이라며 “그게 아니라 빅3 후보들이 모두 출마해 전당대회에서 갈등이 고조되면 이후 나라도 최고위원회에 들어가 완충지대 역할을 해줄 필요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전 의원은 전당대회 후보들이 너나 할 것 없이 ‘혁신’을 외치고 있는 데에 “환골탈퇴와 혁신이란 말들 무성하게 많이 해왔다. 양치기 소년이 된 것”이라며 쓴 소리를 던졌다.
그는 “혁신은 기본과 원칙을 바로 세우는 것이다. 과거 당은 위기를 외부 수혈과 통합으로 극복했다”면서 “지금이 왜 전무후무의 위기냐면 통합할 외부 세력이나 수혈할 수 있는 자원이 고갈돼서, 이제는 내부 자강을 통해서 내부 동력을 끌어올려 창조해나가야 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전당대회 룰과 관련해서도 전 의원은 “나라의 주인이 국민이고 당의 주인이 당원이라는 가장 기본적인 원칙이 무시됐다”며 “당의 기본적인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구축해야 하고, 최대 위기 극복이 최대 혁신이다, 전대마다 룰을 바꿔서는 안 된다. 한번 정하면 두세 번은 써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원내대표 취임 전 국회 여성가족위원을 지냈던 전 의원은 “여가부의 명칭을 여성부로 다시 돌려야 한다”며 여가부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는 “여가부는 왜 폐지 사이트가 생기는지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진짜 할 일은 한 하고, 본질적인 문제는 해결을 못 하고, 본질적이지 못 하고 부수적인 문제들에 참견만 한다”며 “(셧다운제의 경우에도) 1년이 지났지만 효과가 없는데도 잡고 있다. 규제 권한을 놓기 싫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 의원은 이어 “(여가부라는 명칭도) 과거 전근대적, 남녀차별적 인식의 연장선상에서 생겨났다”며 “가족의 문제는 여성만의 문제도 아니고 남녀 모두, 또 전체 부처의 문제이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여가부는) 양성차별적인 문제들을 스크린해서 여전히 남아있는 낡은 제도들을 찾아내고, 차근차근 해결해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해야 할 일”이라고 덧붙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