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질 위메프', 과거에도 200명 한꺼번에 내보내
11명 직원 내보내며 네티즌 공분...업계 최저 복리후생, 임금 등 개선없어
11명의 직원을 전원 해고시켜 갑질 논란이 일고 있는 소셜커머스업체 위메프가 과거에도 200명의 직원들을 한꺼번에 내보낸 것으로 확인됐다.
직원 해고로 여러 논란이 있었음에도 위메프의 직원 복리후생이나 임금, 비정규직 비중 등은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다.
8일 위메프 및 관련업계에 따르면 위메프는 지난해 12월 신입 지역 마케팅 컨설턴트(MC)직원 11명을 채용해 2주간 필드 테스트를 진행했다.
이 기간 동안 이들은 지역을 나눠 새로운 음식점과 미용실 등을 돌아다니며 계약을 체결하는 일을 했다.
심지어 하루 14시간 근무하는 날도 있었으며, 계약을 따오면 채용 담당자로부터 '이렇게만 하면 충분히 합격할 수 있다'는 격려도 받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들은 2주 후 전원 해고됐다. 대신 일당 5만원씩, 각자 55만원을 지급받았다.
이들의 해고통보 소식이 알려지자 인터넷상에서는 '땅콩 회항'에서 부터 백화점 주차장 아르바이트생 무릎 꿇린 사건과 연계시키면서 '위메프 갑질'을 비판했다.
이에 위메프 홍보실 관계자는 "이들은 정식 채용된 것이기 아니기 때문에 해고된 것이 아니다"라며 "4년 동안 MC를 채용하는 과정에서 이직률이 워낙 높아 강도 높은 기준을 적용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사태가 일파만파로 커지자 위메프는 급히 입장을 선회해 다시 전원 채용키로 했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박은상 위메프 대표는 이날 입장자료를 통해 "저희의 소통이 미숙했고 진심을 제대로 전달해드리지 못해 죄송하다"며 "진정한 지역 마케팅 컨설턴트 그룹을 만들고자 심혈을 기울여 어렵고 힘든 3차 최종 현장 테스트를 치렀고 그 통과 기준을 최고수준으로 정했다"고 말했다.
또 박 대표는 "모두 최선을 다해 열심히 성과를 내주셨지만 결국 한 분도 최종 합격자로 선발되지 못했다"며 "인생의 가장 소중한 시기인 취업준비기간에 조금이라도 채용에 대한 기회비용을 아껴드리고자 2주 만의 과정으로 최종 판단을 말씀 드렸습니다만 서툰 설명과정이 본의 아닌 오해를 만들었고 많은 분들에게 상처를 드렸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논란이 커지자 박 대표는 "11명 현장테스트 참가자 모두 최종 합격으로 정정했다"며 "완벽하게 준비된 인력을 찾는 방식에서, 시간이 걸리더라도 잠재력을 갖춘 인력을 찾아 저희가 직접 교육하는 방향으로 신입사원 선발제도를 변경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내부 및 외부 소통을 더욱 강화함으로써 이와 같은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과거에도 위메프는 전체 직원 중 절반 가까이를 해고한 적이 있어 이런 채용 방식이 상습적일 수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 2011년 위메프는 전체 직원 550명 중 200명을 내보내며 1개월 월급을 위로금으로 줬다. 하루 만에 권고사직을 통보하고 다음날 짐을 정리하는 식이었다. 이 중에는 한 달만 더 일하면 퇴직금 대상자에 포함되는 직원도 20여명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직원을 함부로 아는 조직 문화가 위메프에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으며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특히 위메프의 직원 복리후생이나 임금, 정규직 비중 등은 업계 최저 수준인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위메프는 과거에도 직원들을 쉽게 내보내며 시끄러웠던 적이 있는데 이후에도 개선되는 부분이 없는 것 같다"며 "직원들의 복리후생이나 임금, 정규직 비중은 업계 최저이며 직원들의 뒤통수를 친다고 '위통수'라는 말이 나돌 정도"라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