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여야 '선거구 재획정' 위한 독립기구 구성 합의


입력 2015.01.15 14:57 수정 2015.01.15 15:04        이슬기 기자

당대표 및 원내대표 2+2 회동서 합의, 개헌 관련 논의는 접점 못 찾아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이완구 원내대표와 새정치민주연합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 우윤근 원내대표가 15일 국회 새정치민주연합 대표회의실에서 열린 여야 당대표 및 원내대표 회동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데일리안

여야가 15일 선거구 재획정을 위한 독립적 기구를 구성키로 합의했다.

여야 당대표 및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새정치민주연합 당대표회의실에서 ‘2+2 회동’을 열고 이같은 내용에 합의했다고 박대출 새누리당 대변인과 김성수 새정치연합 대변인이 밝혔다.

대변인 브리핑에 따르면, 여야 지도부는 △김영란법과 관련해 2월 임시국회에서 우선 처리하되 법리상 문제에 대해서는 충분히 검토키로 하고 △정개특위를 2월 임시국회 중 구성해 정치개혁 전반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기로 했다.

하지만 가장 큰 관심이 집중됐던 개헌과 관련해서는 접점을 찾지 못했다. 김 대변인은 이에 대해 “야당은 권력구조 개편 등을 위해서 개헌특위 구성을 강력히 요구했고, 여당은 개헌의 필요성은 공감하나 어려운 경제사정 등을 감안해 추후 논의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앞서 박근혜 대통령이 신년 기자회견 당시 “개헌 문제로 날을 지새우면 경제활력을 못 찾는다”며 사실상 반대 입장을 분명히 밝힌 데 이어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도 “경제활성화가 우선”이라고 발을 빼면서, 새정치연합은 “2+2회동에서 반드시 개헌 논의를 시작하겠다”며 벼르고 있던 것과는 달리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한 것이다.

이에 대해 박 대변인은 “앞부분에 1,2,3항에 대해서는 여야 간에 이견이 없어서 바로 합의 이뤘지만, 개헌 문제는 한시간 넘게 여야가 격론을 벌였다”고 말했고, 김 대변인도 “개헌 부분에 대해서는 사실 소득이 없었다고 정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이어 “우리는 개헌 필요성에 방점을 찍는거고, 여당에서는 지금 당장은 논의하기가 어렵고 추후 논의키로 했다는 데 방점을 찍고싶은 것 아니겠느냐. 배석을 하지않아 그 이상은 설명드리기 어렵다”고 말했다.

아울러 국회뿐 아니라 선거관리위원회로부터의 독립 여부에 대해서도 “그 부분은 말하기가 어렵다. 국회가 손을 뗀다는 것까지만 설명이 됐다”고 답했다.

이슬기 기자 (wisdo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슬기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