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이은 악재에 새정치련 전대 후보들 '논평이라도...'
연말정산 논란 등 초대형 이슈들에 묻혀 전당대회 흥행 부진
"비대위라도 도와줘야 하는데, 비대위 활동도 주목 못 받아"
연이은 악재에 새정치민주연합 2.8 전국대의원대회 당대표 후보들이 울상이다. 당초 새정치연합 전당대회는 ‘빅3(정세균·박지원·문재인)’ 후보들의 당대표 출마 여부로 관심을 받았으나, 정작 예비경선(컷오프)으로 최종경선 후보가 가려진 뒤에는 연이어 터진 각종 이슈에 묻혀 좀처럼 분위기가 뜨지 못하고 있다.
실제 전당대회 후보 등록일을 앞둔 지난달 중순에는 청와대 비선실세 논란과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의 ‘땅콩리턴’ 사건이, 이달 본선 순회연설회 중에는 김영한 전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의 항명 사태와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의 수첩 파동, 정동영 전 새정치연합 상임고문의 탈당 사태 등이 빚어졌다.
또 현재에는 인천 어린이집 아동 폭행 사건과 연말정산을 앞두고 불거진 ‘13월의 세금폭탄’ 논란에 여론의 관심이 집중돼 있다.
이 같은 상황에 후보들이 존재감을 부각하기 위해 택한 차선책은 논평이다. 문재인 후보와 이인영 후보는 대변인 논평을 통해, 박지원 후보는 트위터 등 SNS를 통해 각종 현안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오히려 후보들이 내놓은 공약이나 후보들간 공방보다 현안과 관련된 발언에 더 큰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당대회 후보들이 가장 많은 논평을 쏟아냈던 사안은 이달 초 발생했던 김 전 수석의 항명 사태이다.
당대표 후보 3인은 지난 11일 울산 합동연설회에 앞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사과와 김기춘 대통령 비서실장의 사퇴를 촉구했다. 이에 앞서 이 후보와 박 후보는 10일 각각 논평과 트위터를 통해, 문 후보는 9일 긴급성명을 통해 항명으로 빚어진 청와대 기강붕괴 논란과 관련해 입장을 밝혔다.
20일 현재에는 연말정산 환급금 축소가 최대 이슈이다. 문 후보는 이날 트위터를 통해 “13월의 월급이 13월의 세금폭탄이 됐다”며 “박근혜정부는 대기업과 고소득자에게는 세제혜택을 주고 봉급생활자의 세 부담은 증가시켰다. 서민증세는 중단돼야 한다. 부자감세 철회가 우선”이라고 촉구했다.
박 후보도 같은 날 트위터를 통해 “13월의 세금 폭탄! 새정치민주연합의 지적에 국민 여론이 비등하자 최경환 부총리는 ‘자녀수 등을 감안해 소득공제 항목 수준을 조정 검토하겠다’(고 했다)”며 “검토가 아니라 시행하고, 서민증세 발상을 아예 머릿속에서 지우라”고 지적했다.
오영식 최고위원 후보도 논평을 발표해 현안에 목소리를 냈다. 그는 현 정부를 1894년 고부군수 조병갑에 비유하며 “말도 안 되는 세목을 만들어 백성의 고혈을 쥐어짰던 조병갑의 행태와 서민의 허리를 쥐어짜 재벌·대기업의 배를 불리고 있는 새누리당·박근혜정권의 행태가 크게 다르지 않다”고 비판했다.
전당대회 흥행이 부진한 상황에서 전당대회 후보들의 이 같은 행보는 자신들의 존재감을 유지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관측이다. 아무리 혁신과 관련해 목소리를 내고 상대 후보들과 치열한 경쟁을 벌여도, 이 같은 활동들이 메가톤급 이슈들에 묻혀 좀처럼 부각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 당대표 후보 측 관계자는 “전당대회 후보들이 나름대로 노력하고는 있지만, 비상대책위원회는 비대위대로 목소리를 내면서 좀 도와주고 해야 하는데 그조차 주목을 못 받는 것 같다”며 “당 지지율도 정체되고, 전당대회도 흥행하지 못하고, 진퇴양난 같다”고 토로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