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세월호 특별조사위 "조직 및 예산안, 조정 가능하다"


입력 2015.01.27 16:22 수정 2015.01.27 16:26        이슬기 기자

정치권 일각에서 "조사위 너무 비대하다"는 지적에 수정 가능성 내비쳐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이석태 위원장을 비롯한 상임위원들이 27일 오전 국회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실을 방문해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과 인사를 나눈뒤 함께 손을 잡고 있다. (좌측부터) 권영빈 위원, 조대환 부위원장, 문희상 비대위원장, 이석태 위원장. 김선혜 위원, 박종운 위원.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4.16 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가 기존에 구상했던 조직과 예산안에 대한 수정 가능성을 내비쳤다. 조직 및 예산안 규모가 지나치다는 정치권 일각의 지적을 의식한 입장 변화로 보인다.

이석태 특별조사위원장을 비롯한 5명의 조사위원들은 27일 국회를 방문해 여야 대표를 각각 만난 뒤 기자회견을 열고 "조직 및 예산을 담은 우리 안이 정부에 접수됐다. 최대한 합리적 수준에서 편성했다고 판단한다”면서도 “하지만 세부사항은 조정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예산과 관련해 새누리당을 비롯한 정치권 안팎에서 일고 있는 논란을 의식한 듯 “조사위가 정치화되거나 이념화되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 어떤 경우에도 정쟁의 여지가 없도록 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우리는 여야 정치권에 위원회가 정치적 중립의무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요청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현재 진행 상황에 대해서는 “조직 및 예산 초안을 행정자치부와 협의중이다. 1차 실무작업은 마무리됐지만, 그 이후엔 정무적 판단과 더 높은 단계의 논의가 필요하다"며 "직제 안이 확정되려면 부처 협의 등 많은 단계가 남아있고, 사업 예산도 우리가 원한다고 다 되는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총액기준이 다를 수 있고, 총액이 비슷하게 맞더라도 내부적 토의를 거치는 과정에서 우리 조사위 안과 다른 결과물이 나올 수 있다"며 “상임위원들이 그런 것들을 꼼꼼하게 보려고 최선을 다해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특별조사위는 1실 1관 3국 14과, 총 125명의 인력으로 조사위를 꾸리고, 여기에 약 241억원 규모의 예비비를 책정해 운영과 진상조사에 투입한다는 안을 발표했다. 이에 새누리당은 “예산과 조직 모두 너무 과도하다”며 축소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한편 문희상 새정치민주연합 비대위원장은 이날 오전 특별조사위원들을 만난 자리에서 김재원 새누리당 의원의 '세금폭탄' 발언을 겨냥해 "진짜 세금폭탄은 따로 있는데, 세월호 진실을 밝히는 일을 세금폭탄이라고 폄훼하는 사람들이 있다. 같은 인간으로서 부끄러움을 느낀다”며 “돈이 사람보다 먼저일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 자리에는 이 위원장을 비롯해 조대환 부위원장, 권영빈 진상규명소위원회 위원장, 김선혜 지원소위원회 위원장, 박종운 안전사회소위원회 위원장이 참석했다. 아울러 특별조사위는 이에 앞서 새누리당 지도부와도 비공개 회동을 갖고 “정치적 중립을 지킬 수 있게 도와달라”는 뜻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2월 출범을 목표로 하는 특별조사위는 오는 30일 조직과 예산안 등과 관련해 자체 상임위원회를 진행하고, 다음달 4일 전체간담회를 열어 추가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슬기 기자 (wisdo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슬기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