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기 비서실장'에 여 "적재적소" 야 "공안정치 망령"
새누리 "청 잘아는 분, 외교·정무 경험 풍부" 정의당 "암흑의 공작정치 부활"
박근혜 대통령이 27일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의 후임으로 이병기 국정원장을 내정한 가운데, 여야 정치권의 반응이 극명하게 엇갈렸다.
김종민 정의당 대변인은 청와대의 인사 발표 직후 국회 정론관에서 브리핑을 통해 “아버지 박정희 대통령의 중앙정보부 통치시절이 연상되는 인사”라며 “암흑의 공작 정치가 부활하는 것이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날을 세웠다.
김 대변인은 또 “박 대통령은 잘못된 것을 바꿀 의지도, 필요성도 느끼지 못했고, 모든 과오에 대해서 눈꼽만큼의 반성도 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보여줬다”며 “김기춘 비서실장을 교체하랬더니 오히려 ‘김기춘 열화 버전’을 데려다 놓은 것이다. 오히려 김기춘 전 비서실장이 고와보이는 상황”이라고 강한 유강을 표명했다.
특히 이 내정자에 대해서는 “국가권력의 대선개입, 공작정치의 역사 곳곳에서 주연을 담당했던 인물이고, 1997년 북풍공작의 주범이자 2002년 차떼기로 돈 상자를 실어나른 주범”으로 평가하며 “대선 개입으로 민주주의를 무너뜨린 국정원의 어떤 개혁도 추진하지 못한 수장을 비서실장에 앉히는 것은 국가권력의 불법대선 개입을 결코 포기할 수 없다는 의지의 표명”이라고 비판했다.
김영록 새정치민주연합 수석대변인도 “음지에서 일하는 정보기관의 수장을 국정운영의 중심인 청와대 비서실장에 임명한 것은 사상 유례 없는 잘못된 인사”라며 “인사혁신을 통해 국정운영기조를 바꾸라는 국민의 요구를 거부한 불통 인사이며, 국민 소통과 거리가 먼 숨 막히는 회전문 인사”라고 못 박았다.
그러면서 “소통과 국민 통합에 매진해야 할 비서실장에 현직 국정원장을 임명해서 정보정치, 공안정치의 망령이 되살아나지 않을까 걱정스럽다”고 밝혔다.
반면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이 내정자가 청와대에서 오래 근무한 경험이 있고, 국정원장을 맡아서 그동안 역할을 잘 해왔다"고 추켜세웠다.
권은희 대변인도 “대통령을 잘 알고 청와대를 잘 아는 분을 비서실장에 임명했다. 적재적소의 인사를 한 것”이라며 “이 내정자는 외교와 정무 경험이 풍부한 정보통으로, 왕실장으로 군림하는 것이 아니라 업무지향형 실무비서실장으로 청와대를 안정적으로 이끌어 갈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