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서울시, 1400억건 빅데이터 분석해 교통사고 방지책 시행


입력 2015.03.16 14:54 수정 2015.03.16 15:08        박민 기자

사고 내역, 유동인구, 날씨 등 공공‧민간 보유 빅데이터 분석

분석 결과 토대로 맞춤형 시설개선 및 교육‧홍보 추진

서울시는 공공과 민간이 보유한 교통사고 내역, 유동인구, 위험운전행동, 차량속도 등 1400억여건에 이르는 빅데이터를 분석해 교통사고 방지 대책을 수립, 올 상반기부터 본격 시행한다고 16일 밝혔다.

시가 교통정책에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것은 지난 2013년 올빼미버스 노선 최적화와 2014년 택시 운행 데이터 분석에 이어 3번째이며, 사고 분석을 통한 안전대책 마련은 이번이 처음이다.

시는 우선 교통사고 유형을 5개 분야로 세분화해 분석과 예방 대책을 세웠다.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중앙 버스전용차로 정류소 교통사고 △ 음주운전 사고 △위험운전 행동과 사고 등이다.

먼저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의 58%는 초등학교 반경 300m 이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등학교에 갓 입학하는 만 7세 어린이의 사고 비율이 13.2%로 가장 높았다. 주로 학기 중에 일어나고 가을보다는 신학기인 봄에, 특히 5월(12.1%)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상반기부터 교통사고 발생 상위 50개 초등학교에 과속방지턱 등 교통안전시설을 설치한다. 2학기부터 교육청과 협력해 초등학교 저학년 대상, 신학기를 중심으로 교통 안전 교육을 강화할 계획이다.

어르신 보행자 교통사고는 중상 이상의 상해를 입는 경우가 65.4%로 비노인(42.3%)에 비해 1.5배 높았다. 전통시장이나 공원 인근 사고 발생이 타 연령대에 비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시는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 교통사고 다발지점 시설 개선, 맞춤형 교육 등을 상반기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전통시장, 공원 등에 무단횡단 금지시설 설치를 확대하고, 센서 감지로 무단횡단 때 경고음이 나오는 보행신호 음성안내 보조장치를 경찰청 등 관계기관과의 협의를 거쳐 3~4곳에 시범적으로 설치할 방침이다.

최근 3년간 중앙 버스전용차로 정류소 1개소당 무단횡단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0.81건으로 일반 가로변 정류소(0.15건)에 비해 5.4배나 더 많이 발생했다. 무단횡단 다발지점으로는 △청량리역 △신설동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미아삼거리역 인근 중앙 버스전용차로 횡단보도로 나타났다.

시는 전체 중앙 버스전용차로 정류소(총 335개)에는 올해 안에 무단횡단금지시설을 설치하고, 정류소 양 끝에 방호울타리를 보강한다. 버스 운전자 대상 인터뷰, 설문조사와 버스 블랙박스 카메라를 통해 버스 노선 상 위험구간을 선정해 하반기부터 개선할 예정이다.

음주운전 사고의 경우 사고를 낸 가해자 사망률이 51.6%로 일반 교통사고의 가해자 사망률(28.3%) 대비 1.8배 높았다. 음주운전 사고는 토요일(19.4%)에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사망사고는 일요일(22.5%)에 가장 많이 발생했다. 이중 78.6%가 0시~7시 새벽시간대에 발생했다.

시는 일선 경찰서에서 음주운전 단속 지점 선정 때 참고할 수 있도록 시가 도출한 도로유형별 음주운전 교통사고 다발 지점을 경찰과 공유할 예정이다.

운전자의 위험운전행동과 관련해서는 사고다발 지점별로 위험운전 행동과 사고유형을 정밀하게 분석해서 횡단보도 설치, 미끄럼방지 포장, 신호기 조정 등 맞춤형 시설개선을 추진하기로 했다.

강진동 서울시 교통운영과장은 “교통사고와 관련된 각종 빅데이터를 시‧공간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보다 과학적인 대책을 수립했다”며 “시설개선, 교육, 홍보 등 교통사고 줄이기 대책을 철저하게 추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박민 기자 (myparkmi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박민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