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이어 동부까지…재계 전방위 사정칼바람
이명박 정부 시절 비리 타깃 공통점…신세계 등도 타깃
이완구 국무총리발(發) 부정부패 사정 수사가 재계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 총리가 ‘부패와의 전면전’을 선포한 지 하루 만인 13일 검찰이 포스코건설을 전격 압수수색한 데 이어, 동부가 다음 타깃으로 떠올랐다. 이에 재계 전반에는 '다음 타깃은 어느 기업이 될지'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바짝 긴장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17일 청와대와 정부세종청사를 잇는 영상 국무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비리의 뿌리를 찾아내서 그 뿌리가 움켜쥐고 있는 비리의 덩어리를 들어내야 한다”고 말해 이 총리의 부정부패 척결 의지에 힘을 실어줬다.
1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세조사부(부장검사 한동훈)는 김준기 동부그룹 회장이 그룹 계열사들을 거액의 비자금을 조성해 자녀인 김남호 동부팜한농 부장과 김주원씨들에게 전달한 단서를 포착하고 수사하고 있다.
당초 서울중앙지검은 2013년 5월 동부그룹의 자금 흐름을 금융정보분석원(FIU)으로부터 넘겨받아 금융조세조사2부에서 내사를 진행했으며, 최근 정부의 부정부패 엄벌 기조에 맞춰 사건을 이첩, 면밀히 들여다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김 회장이 2010년부터 2013년 사이에 그룹 투자회사를 비롯한 계열사들로부터 장부 없이 이뤄지는 거래를 통해 수백억원을 비자금으로 조성하고 이를 경영권 승계에 사용했는지 여부에 초점을 맞추고 자금 흐름을 추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검찰은 김 회장의 동서인 윤대근 동부CNI 회장이 동부하이텍 대표이사 시절 회삿돈을 주기적으로 횡령했는지 여부도 함께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 조상준)는 지난 13일 베트남 현지 법인을 통해 100억원대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업무상 횡령)로 인천 송도 포스코건설 본사의 베트남 사업부문 사무실과 관련 임원 자택 등 3곳을 압수수색했다.
검사와 수사관 40여 명이 10시간 동안 압수수색을 해 비자금 조성과 관련된 내부 감사자료, 회계장부 및 컴퓨터 하드디스크를 확보했다. 포스코건설 베트남 법인은 2009년부터 현지 고속도로 공사 등을 하청 주고 해당 업체로부터 리베이트를 받아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포스코건설이 베트남 공사 외에 또 다른 국내외 공사 수주과정에서 비자금을 조성해 정·관계 인사 로비자금으로 전용했는지도 수사할 예정이다.
감찰은 조만간 정동화 전 포스코건설 부회장을 소환해 조사할 방침이다. 정준양 전 포스코 회장의 2인자로 불렸던 정 전 부회장은 포스코건설 비자금 조성 시기에 이 회사의 사장으로 재직했다.
검찰의 이번 수사는 포스코건설에만 국한되는 게 아니라 포스코그룹 본사 또는 다른 계열사로 확대될 가능성도 높아 보인다. 포스코의 다른 계열사들이 고가에 기업을 인수합병(M&A)하는 방식으로 이명박 정부 실세 등에게 로비자금을 전달했다는 의혹도 규명할 방침이다.
이번 포스코와 동부의 부정부패 사정은 전 정권인 이명박 정부 때 벌어진 사건이 대상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김준기 동부 회장의 경우 2010년부터 2013년 사이에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를 받고 있으며, 포스코건설 역시 2009년부터 베트남 법인에서 벌어진 비자금 조성 혐의가 수사 대상이다. 검찰은 특히 포스코건설이 베트남 공사 외에 또 다른 국내외 공사 수주과정에서 비자금을 조성해 당시 정·관계 인사 로비자금으로 전용했는지도 수사할 예정이다.
포스코 본사에 대한 수사 역시 이명박 정부 당시 적정가를 넘어선 인수합병을 통해 빚어진 부실과 이 과정에서 정부 실세에 로비자금을 전달했다는 의혹이 타깃이다.
이같은 사정 칼바람은 포스코와 동부에 그치지 않을 것으로 보여 재계를 긴장시키고 있다. 현재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임관혁 부장검사)는 신세계 그룹 계열사 당좌계좌에서 발행된 수표를 물품거래에 정상적으로 쓰지 않고 현금화한 정황을 포착하고 수사 중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비리가 있다면 적발해야겠지만, 최근 주요 대기업들에 대한 비리 수사가 바람몰이 식으로 이뤄지는 것은 우려스럽다”며, “수사 결과가 어떻게 됐건 일단 수사 대상에 오르는 것만 해도 기업의 대외 신인도가 하락해 투자가 위축되고, 주가가 떨어지면서 계열사 매각 등 구조조정에도 차질이 빚어진다”고 지적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