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명분없는 민주노총 총파업에 조합원 '고작' 6%


입력 2015.04.25 11:22 수정 2015.04.25 11:35        스팟뉴스팀

"집행부, 내부 노조원 설득 실패했다" 분석도

24일 오후 서울광장에서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총파업 대회를 열고 노동시장 구조개악 폐기, 공무원연금 개악 중단 및 공적연금 강화, 최저임금 1만원 쟁취, 박근혜 대통령 퇴진 등을 촉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데일리안 홍효식 기자

민주노총이 24일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 등 전국 17개 지역에서 총파업 집회를 연 가운데 전체 조합원의 6% 미만만 참여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날 민주노총은 노동시장 구조개악 저지와 공무원연금 개혁 반대 등을 내세우며 오후 3시부터 서울광장 등 전국에서 총파업에 들어갔다. 파업에는 2800여개 사업장에서 26만명 가량이 참가했다고 민주노총은 밝혔다.

하지만 고용노동부는 50여개 사업장 3만 6000여명에,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조합원 등을 포함해 총 3만 7500여명 정도가 실제 파업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따라서 이번 총파업은 사실상 동력이 떨어졌다는 분석이다.

고용노동부는 또 민주노총 서울본부 총파업 결의대회가 열린 서울광장에 경찰 추산 8000여명이 모이는 등 4만 3000여명이 지역별 집회에 운집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민주노총 조합원 65만여명의 5.7% 정도만이 실제 파업에 참가한 셈이다.

이에 민주노총이 내건 노동시장 구조개선 반대와 공무원 연금개혁 반대, 최저임금 1만 원 인상 등의 총파업 명분이 내부 노조원들의 지지를 얻는 데 실패한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한편, 정부는 이번 파업을 두고 "공무원단체의 불법적인 행동에 대해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대처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노동계와 정부의 갈등의 골이 더욱 심화될 질 것으로 예상된다.

스팟뉴스팀 기자 (spotnew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스팟뉴스팀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