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문재인 '더 격렬하게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다'


입력 2015.05.26 11:48 수정 2015.05.26 12:02        이슬기 기자

당 갈등 수습 책임자이자 노무현재단 전 이사장 침묵

'친노-비노' 갈등 불씨 타올라도 '유체이탈 화법'만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26일 서울 여의도 민주정책연구원에서 열린 경제정책심화과정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또’ 유체이탈 화법을 선보였다. 계파 갈등으로 인한 내홍이 위험수위에 다다른 상황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장남인 건호 씨의 ‘김무성 비난 발언’이 일파만파 번졌지만, 정작 문 대표가 손을 놓고 있어서다.

노 씨는 지난 23일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에서 열린 노 전 대통령 서거 6주기 추모식에서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를 향해 “권력으로 전직 대통령을 죽음으로 몰아넣고, 그것도 모자라 선거에 이기려고 국가 기밀문서를 뜯어서 읊어대고, 국정원을 동원해 댓글 달아 종북몰이 해대다가 아무 말 없이 언론에 흘리고 불쑥 나타나시니, 진정 대인배의 풍모를 뵙는 것 같다”며 작심발언을 쏟아냈다.

노 씨의 발언은 곧바로 ‘친노 대 비노’ 갈등으로 격화됐다. 박지원 의원 등 당내 비노계는 물론, 고종석 작가 등 외부 인사들까지 “상주가 추모객에게 예의는 지켜야한다”고 목소리를 높인 반면, 배우 문성근·명계남 씨는 “김 대표의 방문은 예의에 어긋난 짓”이라며 노 씨를 옹호하는 한편 비노계 인사들을 겨냥해 “새누리에 질질 끌려다닌다”고 비판했다.

특히 비노계 일각에서 노 씨의 연설문을 두고 ‘친노 배후설’을 제기하며 기름을 부었고, 친노 인사들이 “강기훈 유서대필사건을 연상케 하는 코미디”라며 즉각 반발하는 등 SNS 상에서도 난투극으로 이어졌다. 최근 혁신위원회 등으로 계파 갈등을 수습하려던 지도부의 노력에 처음부터 김이 빠져버린 셈이다.

하지만 문 대표는 이같은 ‘난리’가 벌어진 지 3일이 지나도록 입을 열지 않았다. 당시 다소 당황한 표정의 김 대표가 “(노건호 씨 발언을)알고 있었느냐”고 묻자 고개를 가로저으며 ‘나도 몰랐다’는 취지의 답을 건넸을 뿐, 추후 어떠한 공식적 발언도 없었다.

그간 회자됐던 문 대표의 리더십 부재가 또다시 제기될 수 밖에 없는 지점이다. 노 씨의 발언은 단순히 연설내용 자체로 문제가 된 것이 아니라, 직접적으로 당내 계파 갈등에 기름을 부은 격이 됐기 때문이다. 문 대표가 현 혼란국면을 추스르는 책임자이자,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비서실장으로 본인이 손사래를 쳐도 친노계의 수장이며 전직 노무현재단 이사장까지 지냈음을 인지한다면, 어떤 형태로든 유족에 대한 유감을 표명하는 동시에 갈등의 불씨를 수습하려는 최소한의 의지를 드러냈어야 한다.

그럼에도 문 대표가 보여준 모습은 변함이 없었다. 오히려 이종걸 원내대표가 먼저 나서 “손님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라며 문 대표가 발언할 틈을 열어줬지만, 문 대표는 이후에도 자신과는 별개인 양 “몰랐다”는 말 외에는 당을 대표하는 사람으로서 아무런 유감 표명도, 사과도 하지 않았다. 새정치연합이 박근혜 대통령을 향해 연일 비판하는 ‘유체이탈 화법’을 몸소 보여준 격이다.

문 대표의 이같은 대응은 처음이 아니다. 앞서 지난 8일 정청래 최고위원의 ‘공갈’ 발언으로 주승용 최고위원이 “사퇴하겠다”며 회의석을 박차고 나갔지만, 대표로서 정 최고위원의 막말과 주 최고위원의 돌발 행동에 대해 아무런 훈계도 제재도 가하지 못했다. 특히 사건 발생 5일만에 정 최고위원에 대한 ‘최고위 출석 정지’ 결정을 내리며 늑장대응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한편 논란의 여파가 계속되고 있으나 새정치연합은 당 차원의 공식 논평을 자제하고, 문 대표 역시 이렇다 할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당 관계자는 “유족 측의 발언에 대해 당 차원에서 언급하거나 평가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이슬기 기자 (wisdo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슬기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