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은행권도 메르스 '비상'…"창구서 마스크착용 검토"


입력 2015.06.04 11:44 수정 2015.06.04 20:03        이충재 기자

경기남부 지역 고객 줄어들어…"아직은 모니터링 단계"

2일 오후 서울 성동구 용답동 서울시 예방약품비축소에서 관계자들이 메르스 의심환자와 가족들에게 배부될 N95 마스크 수량을 체크하고 있다. ⓒ연합뉴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에 대한 공포가 확산되면서 시중은행도 예방책 마련에 나섰다. 업종 특성상 많은 사람들을 상대하기 때문에 각별한 건강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4일 시중은행들은 정부 차원의 가이드라인이 나오지 않아 자체적인 예방책을 마련해 적용하고 있다.

신한, 우리, 농협은행 등 주요은행들은 일부 지점을 중심으로 지점장 재량에 따라 직원들의 마스크 착용을 허용하기로 했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고객들의 우려가 커질 수 있는 만큼 지점 직원들에게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도록 했고, 메르스 확산 우려 지역의 점포에선 지점장 재량으로 마스크 착용을 허용했다”고 밝혔다.

특히 병원 출장소에서는 전직원에게 마스크착용을 의무화하고, 최초 메르스 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진 경기 남부 지역 지점을 중심으로 마스크 착용을 확대하고 있다. 또 지점마다 마스크와 손소독제도 배포했다.

다만 대부분의 은행들은 마스크 착용을 전국 영업점으로 확대하는 것에 대해 ‘영업에 지장이 생긴다’는 이유로 부정적인 입장다. 한 직원은 “창구에서 마스크를 쓰고 있으면 오히려 위화감을 조성하지 않겠냐는 의견이 있다”며 “정부 지침이 없어 자체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단계”라고 말했다.

'영업력 저하' 우려할 단계 아냐…'00은행 가면 안 된다'소문이 무서워

은행권은 당장 메르스 여파로 인한 영업력 저하 등을 우려할 상황이 아니라고 보고 있다.

주요은행들은 본사 차원에서 대책회의를 열고 메르스 확산으로 가능한 리스크를 확인했다. 아직까진 재해발생에 대비해 사전에 조직과 복구절차 등을 수립하는 ‘BCP(업무연속성계획)’를 가동할 단계가 아니라고 판단했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경기남부 지점에서는 고객이 절반가량 줄었지만, 서울을 비롯한 전국 대부분의 지점에서 특별히 고객이 줄었다는 보고가 없었다”며 “은행권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은행권 일각에선 ‘00지점 직원 메르스 확진’이라는 소문이 나도는 것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최근 증권가 정보지를 통해 특정 기업 직원이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았다는 확인되지 않은 내용이 퍼지기도 했다. 이는 기업 신뢰도와 매출 등에 대한 타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

지난 2009년 신종플루 유행 당시에도 한 은행지점 직원이 신종플루 확진 판정을 받아 해당 지점이 휴무에 들어간 바 있다. 휴무의 여파 보다 ‘00은행에 가면 안 된다’는 소문의 파장이 더 컸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은 금융위원회에 △메르스에 대한 별도의 대응지침 수립 △메르스 전파 예방지침 수립 △발병이 의심될 경우 즉각적인 의료지원 등 은행 고객과 직원들에 대한 안전 확보 조치를 취해달라고 요청했다.

금융노조 관계자는 “전국 각지의 영업점에서 고객을 상대하는 금융 업무의 특성상 메르스의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면서 “많은 고객을 응대하는 영업점에서 메르스 환자가 발생하면 확산 속도가 급격히 빨라질 수 있는 만큼 당국과 금융기관의 안전 확보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충재 기자 (cjl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충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