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말하는 병원명 공개 안하는 진짜 이유가...
대책본부 "병원 위해서가 아니라 환자 불편 때문"
청와대 "의료진 반발은 물론 의료대란 올게 뻔해"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감염 환자 확산과 관련해 정부가 관련 병원을 공개하지 않는 이유를 밝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여기에 정부의 병원 공개여부와 상관없이 소셜네트워크 상에서 '메르스 확산지도'까지 만들어져 향후 정부의 대응이 주목된다.
권준욱 중앙메르스대책본부 기획총괄반장은 4일 브리핑을 통해 "의료기관을 위해 기관명 공개를 꺼리는 것이 아니다.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환자들의 불편이나 애로사항 발생을 우려해 더 효과적인 방법을 찾는 노력을 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청와대는 전날 박근혜 대통령 주재 '메르스 긴급 대책회의'를 끝내고 브리핑을 통해 "병원 이름 공개는 득보다 실이 크다"며 이 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현정택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은 브리핑에서 "지금까지 확인된 메르스 감염자 30명 중 25명이 나온 한 의료기관은 이미 폐쇄됐고, 다른 기관 네 곳에서 나온 감염자는 모두 의사·간호사 등 전문인력이었다"고 설명했다. 불특정 병원 방문이 메르스 감염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김우주 대한감염학회 이사장도 "내부에서 메르스가 전파된 의료기관 다섯 곳 이외에 대부분의 병원은 현재로선 메르스와 무관하다"며 "감염자들을 격리 치료 중인 최고 수준의 병원들에서 감염예방조치가 이루어져 안전함에도 불구하고 메르스 오염 병원으로 인식되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청와대 고위 관계자도 만약 병원을 공개하는 순간 의료대란이 올 것이 자명하기 때문에 결코 병원을 공개할 수는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 관계자는 "일선병원의 의료진들 중에서도 메르스와 관련한 치료를 지시하면 불안해하면서 사표를 내겠다고 말하는 의사들이 있을 정도라고 한다"며 "이런 상황에서 메르스 관련 병원들을 공개하면 해당병원 의료진의 반발은 물론, 환자들이 찾지 않아 의료대란이 올 것이 자명하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이같은 완강한 입장에도 불구하고 이미 국민들 사이에서는 메르스 확산지도와 함께 관련 병원까지 첨부한 사이트가 공개돼 향후 논란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사이트에는 우리나라 전도를 바탕으로 메르스 확진판정을 받은 지역과 병원이 공개돼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