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 원장, 22개 외국계 금융회사 CEO와 조찬 간담회 열어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은 국내에서 영업활동을 벌이고 있는 외국계 금융사들이 제기한 건의사항에 대해 적극 수렴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그동안 현행법에 막혔던 외국계 증권과 은행간 정보교류의 길을 터주기 위해 당장 이달부터 금감원·업계간의 공동 태스크포스(TF)를 꾸려 개선방향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진 원장은 9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22개 외국계 금융사 최고경영자(CEO)와 가진 조찬 간담회에서 "현행 자본시장법상 정보교류 차단장치가 영업활성화에 장애가 되지 않으면서 이해상충 방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합리적으로 개선하겠다'고 강조했다.
이같은 진 원장의 증권·은행 지점 간 정보교류 허용 논의를 위한 TF 구성 제안은 이날 외국계 CEO들이 동일 그룹 내 증권과 은행 간의 협업을 통해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해 달라는 건의에 따른 것이다.
이외에 외국은행 지점에 대한 외화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적용 제외를 요구한 것과 관련해서는 외은지점이 외화와 중요통화 LCR 적용대상이 아니어서 단순 모니터링 중이라고 답변했다.
이어 보험안내자료 간소화와 관련해서는 과도한 서류제출로 인한 금융소비자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금융거래소 제출 서류 간소화'를 추진중이라고 밝혔다.
진 원장은 외국계 은행 CEO들의 의견을 청취한 후 글로벌 금융시장에서의 불확실성과 국내 금융개혁에 따른 외국계 금융회사의 협조를 주문하기도 했다. 이어 정부가 추진하는 금융개혁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진 원장은 "국제수준에 부합하는 금융규제 합리화와 금융개혁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한국의 금융여건이 질적으로 크게 향상될 것"이라며 "외국계 금융회사도 금융개혁에 적극 동참해달라"고 주문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BNP파리바·중국·크레디아그리꼴·도이칟HSBC·중국공상·ING·미즈호·노바스코셔·소시에테제네랄·도쿄미쓰비시UFJ 은행, CLSA·크레디트스위스·골드만삭스·제이피모건·모건스탠리 등 22개 금융회사 CEO가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