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직원 '번호판 바꿔치기' 의혹에 경찰 "근거 없다"
재연실험 결과 저화소 CCTV에선 녹색번호판 흰색으로 보여
경찰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국가정보원 직원의 ‘차량판 바꿔치기’ 의혹에 대해 “변사자 차량이 아니라는 근거를 발견하지 못했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경기지방경찰청 과학수사계는 23일 경기청 2층 제2회의실에서 언론브리핑을 열어 국정원 직원 임모 씨(45)의 차량과 동일한 차량을 이용해 CCTV로 촬영되는 모습을 재연해본 결과 녹색 번호판이 흰색으로 보이는 현상이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경찰은 “동영상을 초당 30프레임으로 나눠보면 차량 진행에 따라 동일한 번호판이 밝은색 또는 어두운 색으로 변화하는 것이 관찰된다”며 “동종차량으로 같은 시간대 재연 실험을 10여차례 해보니 실제로 녹색 번호판이 흰색으로 왜곡, 변형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고 전했다.
‘차량판 바꿔치기’ 논란을 일으킨 영상은 임모 씨가 자살한 직후인 오전 6시 18분과 22분, 자살장소에서 각각 2.4km, 1.4km 떨어진 지점에 설치된 CCTV에 찍힌 영상이었다. 각각의 CCTV 화소는 34만, 41만 화소로 저화소 카메라에 해당한다.
이에 해당 CCTV가 저화소 카메라였다는 점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도 힘을 실었다. 경찰은 “저화소 카메라로 촬영할 경우 빛의 간섭, 화면확대에 따른 깨짐현상 등으로 번호판 색깔이 왜곡돼 다른 색으로 보일 수 있다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전문가와 외부 전문가 의견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안테나 등 차량 부착물이 보이지 않아 동일한 차량이 아니라는 지적도 있었다. 경찰은 이에 대해 “영상자료 화질개선 및 보정작업을 통해 루프 전면 중앙 검은색 계열 안테나, 루프바 및 선바이저, 범퍼 보호가드, 번호판 위 엠블럼 등이 유사점으로 확인됐다”고 답했다.
이어 “차량 동일성 여부에 대해 전문가 의견, 재연 결과, 차량 특징점, 변사자 최종 행적, 차량이동 경로 등을 종합할 때 영상에 찍힌 차량이 변사자 차량이 아니라는 근거는 발견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 22일 새정치민주연합 전병헌 최고위원은 국회 최고위원회의에서 “마티즈 승용차의 번호판은 초록색인 반면 경찰이 언론에 배포한 CCTV 사진을 보면 번호판은 흰색”이라며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