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선결조건 이뤄져야 정보위 참석"
"로그파일 등 자료제출, 5명 이상 전문가들 참여, 1개월 이상 시간 달라"
안철수 새정치민주연합 국민정보지키기위원장이 27일 국가정보원의 불법 해킹 프로그램 구입 및 사찰 의혹과 관련해 국정원의 관련 자료 제출 등을 선결조건으로 “정보위에 참석하고 필요하다면 백지신탁도 하겠다”고 선언했다.
다만 야당이 제시한 전문가집단에 대해 새누리당과 국정원이 신뢰를 바탕으로 조사권한을 줄지 여부조차 미지수인 데다, 안 위원장 본인도 정보위 참석에 부정적인 견해를 보이고 있어 이같은 선언이 이뤄질 가능성은 크지 않은 상황이다.
안 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국회 정보위가 국정원 해킹 의혹을 제대로 조사하기 위해 △로그파일 등의 자료제출 △최소 5명 이상의 전문가 참여 △1개월 이상의 시간적 여유를 요구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새누리당과 국정원은 더 이상 비합리적 핑계로 조사를 방치하고 자료 제출을 거부하지 말라”고 촉구했다.
안 위원장은 특히 새누리당이 안 위원장의 정보위 참여를 주장하는 데 대해 “내가 정보위에 참여만 하면 (새누리당이) 다른 자료를 제출한다든지 전문가 참여 등을 없던 일로 하고 다 덮으려고 하는 의도로 보인다”며 “앞서 이야기한 선결조건 3가지를 반드시 지켜줘야한다”고 재차 힘을 실었다.
아울러 ‘삭제파일을 100% 복구했고 내국인 사찰은 없었다’는 국정원의 주장과 관련, 안 위원장은 두가지 의문점을 들어 국정원을 압박했다.
우선 국정원같은 정보기관의 경우, 만약을 대비해 모든 경우에 백업을 하는 만큼, 만약 RCS를 사용하는 시스템을 백업했다면, 수분만에 100% 복구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안 위원장은 이를 두고 “그런데 왜 1주일이나 걸렸는지 이해가 안 간다. 이를 정확히 밝혀야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백업을 하지 않았을 경우, 정보 보관이 필수인 정보기관으로서 무능함을 드러낸 것이라는 게 안 위원장의 설명이다.
그는 “백업을 안한 상태에서 하루나 이틀 지나면, 서버에 내부 동작을 하면서 겹쳐쓰기를 시작하기 때문에 100% 복구는 불가능하다”며 “따라서 백업을 했다면 일주일이나 걸린 이유가 설명이 안되고, 백업을 안했다면 100% 복구라는 것 자체가 모순”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아울러 “조사에 참여하는 전문가들은 여야의 추천을 받으면 신원조회를 거쳐 각서를 쓰고 참여해야한다”며 “이런 합리적인 요구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을 못 믿겠다고 하면, 국정원은 이탈리아 사람은 믿고 대한민국 사람을 못 믿느냐고 반문하고 싶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