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안철수 "선결조건 이뤄져야 정보위 참석"


입력 2015.07.27 16:32 수정 2015.07.27 16:35        이슬기 기자

"로그파일 등 자료제출, 5명 이상 전문가들 참여, 1개월 이상 시간 달라"

안철수 새정치민주연합 국민정보지키기위원회 위원장이 27일 국회에서 국정원의 불법해킹 사찰의혹과 관련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안철수 새정치민주연합 국민정보지키기위원장이 27일 국가정보원의 불법 해킹 프로그램 구입 및 사찰 의혹과 관련해 국정원의 관련 자료 제출 등을 선결조건으로 “정보위에 참석하고 필요하다면 백지신탁도 하겠다”고 선언했다.

다만 야당이 제시한 전문가집단에 대해 새누리당과 국정원이 신뢰를 바탕으로 조사권한을 줄지 여부조차 미지수인 데다, 안 위원장 본인도 정보위 참석에 부정적인 견해를 보이고 있어 이같은 선언이 이뤄질 가능성은 크지 않은 상황이다.

안 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국회 정보위가 국정원 해킹 의혹을 제대로 조사하기 위해 △로그파일 등의 자료제출 △최소 5명 이상의 전문가 참여 △1개월 이상의 시간적 여유를 요구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새누리당과 국정원은 더 이상 비합리적 핑계로 조사를 방치하고 자료 제출을 거부하지 말라”고 촉구했다.

안 위원장은 특히 새누리당이 안 위원장의 정보위 참여를 주장하는 데 대해 “내가 정보위에 참여만 하면 (새누리당이) 다른 자료를 제출한다든지 전문가 참여 등을 없던 일로 하고 다 덮으려고 하는 의도로 보인다”며 “앞서 이야기한 선결조건 3가지를 반드시 지켜줘야한다”고 재차 힘을 실었다.

아울러 ‘삭제파일을 100% 복구했고 내국인 사찰은 없었다’는 국정원의 주장과 관련, 안 위원장은 두가지 의문점을 들어 국정원을 압박했다.

우선 국정원같은 정보기관의 경우, 만약을 대비해 모든 경우에 백업을 하는 만큼, 만약 RCS를 사용하는 시스템을 백업했다면, 수분만에 100% 복구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안 위원장은 이를 두고 “그런데 왜 1주일이나 걸렸는지 이해가 안 간다. 이를 정확히 밝혀야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백업을 하지 않았을 경우, 정보 보관이 필수인 정보기관으로서 무능함을 드러낸 것이라는 게 안 위원장의 설명이다.

그는 “백업을 안한 상태에서 하루나 이틀 지나면, 서버에 내부 동작을 하면서 겹쳐쓰기를 시작하기 때문에 100% 복구는 불가능하다”며 “따라서 백업을 했다면 일주일이나 걸린 이유가 설명이 안되고, 백업을 안했다면 100% 복구라는 것 자체가 모순”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아울러 “조사에 참여하는 전문가들은 여야의 추천을 받으면 신원조회를 거쳐 각서를 쓰고 참여해야한다”며 “이런 합리적인 요구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을 못 믿겠다고 하면, 국정원은 이탈리아 사람은 믿고 대한민국 사람을 못 믿느냐고 반문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슬기 기자 (wisdo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슬기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