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청원 "롯데그룹, 역겨운 배신" 이종걸 "경제 리스크"
롯데가 승계 전쟁에 여야 모두 "국민 의지와 경제에 찬물 끼얹는 행위"
롯데그룹의 경영권 승계전쟁이 진흙탕 싸움으로 변질되고 심화되는 가운데, 여야가 오랜만에 한 목소리로 “국민 경제에 찬물을 끼얹는 것”이라며 롯데가의 각성을 촉구하고 나섰다.
서청원 최고위원은 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후진적 지배구조, 오너 일가의 정체성과 가풍 모두 우리 국민의 상식과 거리가 먼데, 더 한심한 것은 국민의 눈과 국가경제는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들의 탐욕을 위해 국민을 상대로 여론 전쟁을 벌이고 있다”며 “국민에 대한 역겨운 배신행위”라고 정면 비판했다.
서 최고위원은 이어 “경제살리기에 앞장서야 할 재벌그룹이 이전투구하는 모습을 연일 지켜보는 국민들은 이제 참담함을 넘어서 분노하고 있는 것 같다”며 “메르스 사태 이후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와 기업, 국민이 하나돼 분발을 다짐하는 중요 시기에 볼썽사나운 롯데가 분쟁은 국민 의지에 찬물을 끼얹었다”고 질타했다.
아울러 “이제라도 롯데가 정신을 차리고 건강한 기업구조로 거듭나고 국민 기업으로서 재벌가의 처신과 가풍을 일신해야 할 때”라며 “정부도 손 놓지 말아야 한다. 롯데뿐 아니라 대한국 재벌들의 싸움이 무엇이 문제인지 살펴볼 수 있어야 할 때가 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종걸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도 같은 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총수 일가가 소수 지분을 갖고 그룹 전체를 지배하기 위한 편법과 불법을 동원한 결과”라며 “재벌은 국민경제의 성장동력이 아니라 국민경제의 리스크로 전락했다”고 날을 세웠다. 다만 이 원내대표는 이러한 롯데의 문제를 현 정부의 재벌정책과 연계시켰다.
이 원내대표는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는 재벌들에게 끊임없는 관용과 특혜를 줬다. 재벌 총수들은 범법을 저질러도 관용과 투자의혹 고취라는 이유로 사면을 받고 감옥생활에서도 편의을 제공 받았다”며 “이번 박근혜 정부가 진정 경제를 살리고 싶다면, 노동시장 문제로 회피할 게 아니라 재벌문제, 기업문제 먼저 거론하고 살펴야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재벌 기업은 노동력보다 먼저 한국경제 리스크 차원에서 사회적 논의가 이뤄져야 함을 분명히 밝힌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