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기어S2', 원형 디자인 비결은 '프리폼 배터리'
'기어S2' 비정형배터리 탑재…용량 25% 증가
웨어러블기기 성장…다양한 디자인의 배터리 필요
최근 공개된 삼성전자 ‘기어S2’가 원형 디자인이 될 수 있었던 이유는 삼성SDI의 프리폼 배터리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삼성SDI는 7일 “지난해 12월 비정형(프리폼·Free Form) 배터리 개발에 착수, 올 4월 개발을 마쳤으며 지난달부터 양산에 들어가 기어S2에 탑재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의 기어S2는 출시 전부터 기어와 다른 원형 디자인이 채택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면서 주목받았다. 이와 함께 제품에 탑재될 배터리의 형태에도 뜨거운 관심이 모아졌다.
보통의 전자 부품들은 사각형 모양으로 설계, 제작되기 때문에 원형디자인 제품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공간을 100% 활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이번에 공개된 기어 S2에 탑재된 배터리는 제품의 원형 디자인에 최대한 맞추는 방식을 구현, 이같은 단점을 해소했다.
기어S2에는 250mAh용량의 프리폼 배터리가 탑재됐는데 기존 사각 배터리가 적용됐다면 설계 공간 제약 때문에 200mAh의 용량 밖에 담지 못했을 것이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프리폼 개발로 공간활용도를 높여 배터리 용량을 약 25% 증가시킨 것이다.
삼성SDI는 “원형 디자인에 최대한 부합하도록 각을 더 만들어 배터리 크기를 키운 것”이라며 “궁극적으로 배터리도 원형을 구현해 제품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캐나다 컨설팅업체 반드리코에 따르면 현재 348개의 웨어러블 기기가 출시됐는데 이 중 가장 많이 개발된 유형은 손목형(161개)이었다. 손목형 웨어러블 기기 시장은 2014년 2270만대에서 2019년 1억2350만대로 연평균 40% 늘어날 전망이다.
삼성SDI는 웨어러블 중심으로 변해가는 IT시장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배터리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회사측은 “세계 최초로 개발한 플렉서블 배터리를 비롯해 롤러블(Rollable)·초슬림·초경량·초박형 등 다양한 디자인의 제품에 적용될 수 있는 배터리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