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LG TV, 해외직구가 국내보다 36% 저렴
지난해 해외직구, 전년보다 40% 이상 폭증해 1조 8000억원 기록
미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삼성전자나 LG전자의 TV를 해외에서 직접구매(직구)하면 국내보다 무려 36% 가량 저렴하게 살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가격 이중 정책이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심재철 새누리당 의원은 11일 관세청에서 제출받은 ‘해외직구 전자상거래 물품 현황’을 분석한 결과, 삼성전자의 60인치 스마트TV(UN60H6350)는 한국에서 255만원에 거래되고 있는 반면, 미국 아마존을 통해 구입하면 163만원 가량에 살 수 있는 걸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아마존 구입가엔 TV가격(110만원) 운송료(23만원) 보험료(28만원) 등이 포함됐지만 한국에서 구입할 때보다 36% 싸게 살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 지난해 해외직구는 전년보다 40% 이상 폭증하고 금액도 1조 8000억원(1553만건)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직구 현황에 따르면 1000달러 이상 고가 해외직구 물품 중 TV가 3만 1153건으로 1위에 올랐다. 금액으로 따지면 약 570억원에 달한다. 브랜드별로는 삼성전자의 TV가 5041건, LG전자가 5010건으로 뒤를 바짝 쫒았다.
1위 TV에 이어 2위에는 '가방류'가 올렸다, 4287건으로 금액으로 따지면 약 81억원에 달한다. 이어 상위 10대 품목에는 노트북 4110건(약 73억원), 의류 3088건(약 63억원), 가죽제 핸드백 2968건(약 56억원), 면제 가디건류 2390건(약 49억원), 완구 2274건(약 46억원), 휴대폰 1987건(약 32억원), 자동차 부품 1932건(약 39억원), 기타 손목시계류 1854건(약 42억원) 등이 순위권에 올랐다.
심 의원은 “해외직구가 급증하고 있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우리나라 기업들이 국내 소비자들에게는 비싸게 판매하고 해외에서는 싸게 파는 이중화된 가격차별 정책 때문”이라며 “정부는 국내소비자들이 비싼 해외운송비와 관세를 부담해가면서 해외직구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을 직시하고 문제해결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