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삼성 백혈병 가대위 "보상위 통한 신속한 해결이 최선"


입력 2015.09.13 12:07 수정 2015.09.13 14:38        이홍석 기자

신속한 보상 위해 보상위 참여키로...내부주터 신청

임금산정 현실화와 보상 범위 확대 요구

삼성직업병가족대책위원회(이하 가대위)가 보상위를 통한 신속한 해결이 최선이라며 보상위 참여를 결정했다.

가대위는 13일 보도자료를 통해 "(삼성전자의) 보상위원회 츨범 과정에서 양측의 소통이 원활하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면서도 "하지만 보상위를 통한 해결이 가장 신속한 방안이라는데 의견을 모았고 이에 따라 법률대리인이 보상위원으로 참여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가대위는 그동안 피해자와 그 가족들을 위해서는 신속한 보상이 가장 중요하다는 입장을 견지해 왔던 터여서 고심끝에 보상위 참여를 결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과거 삼성 백혈병 보상 협상은 피해자 가족 8명이 참여하는 반올림이 단일 창구 역할을 해 왔으나 협상 노선에 대한 이견으로 이 중 6명이 나와 가대위를 구성한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이를 반영하듯 가대위는 "삼성전자 반도체 백혈병 문제는 피해자와 가족이 주체"라며 "오래 지연돼온 문제가 신속히 해결되는 것이 중요하며 그 출발은 보상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가대위는 삼성전자측에 임금산정 현실화와 보상 범위 확대 등을 요구하며 성실한 자세로 협상에 임해 줄 것을 촉구했다.

가대위는 임금산정과 관련, 삼성전자가 지난달 3일 발표한 회사 입장문에서 미취업 보상과 위로금의 산정 기준으로 제시한 평균임금을 현실화하고 주장했다. 또 이 기준을 삼성전자 퇴직자 외에 협력사 퇴직자에게도 적용할 것을 요청했다.

가대위는 "해당 퇴직자의 퇴직시 직급과 동일한 현시점 직급 급여 또는 퇴직후 현재까지의 임금인상률을 반영한 급여 가운데 높은 쪽을 적용할 수 있게 해달라"고 말했다.

또 조정위가 권고안에서 제시한 2011년 1월1일 이전 입사자뿐만 아니라 그 이후 입사자라도 발병시 보상방안을 수립하라고 요구했다.

가대위는 "삼성전자는 출연기금 중 가능한 많은 부분이 보상에 사용되도록 해야 한다"면서 "보상위의 실행 과정이 조정위 권고안의 취지를 최대한 존중해 이뤄지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동안 협상을 이끌어 오면서 보상의 원칙과 기준을 마련해 준 조정위원회에 감사의 뜻을 전하면서 "신속한 해결을 위해 당사자간의 대화와 타결 노력이 우선돼야 하기에 조정위는 원만한 해결 노력을 돕는 조력자 역할을 해주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 3일 노동법·산업의학·사회정책 분야 전문가 위원 4명과 가대위 대리인, 사측, 근로자 대표 등 7명으로 구성된 보상위를 발족했다.

보상위는 조정위 권고안을 바탕으로 삼성전자가 지난달 3일 발표한 보상안의 세부항목을 검토해 보상기준을 정하는 등 보상의 전 과정을 총괄하게 된다.

가대위 관계자는 이와 관련 "보상위가 보상 절차를 시작하는대로 이르면 다음 주 보상 신청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홍석 기자 (redsto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