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최치훈 삼성물산 사장 "제일모직과 합병, 성장 위한 것"


입력 2015.09.14 16:01 수정 2015.09.14 16:09        이홍석·윤수경 기자

합병시기도 경영상황 감안해 결정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개최된 금융위원회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일반증인으로 출석한 최치훈 삼성물산 대표(오른쪽)가 의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왼쪽은 조대식 SK(주) 대표.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최치훈 삼성물산 사장(이사회 의장)이 삼성물산과 제일모직간 합병은 양사의 성장을 위해 추진됐으며 시기도 경영상황을 기준으로 이뤄졌다고 강조했다.

최 사장은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개최된 금융위원회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일반증인으로 출석, 김기식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의 합병 목적과 시기에 대한 문제제기에 이같이 밝혔다.

김 의원은 양사간 합병이 경영진이 아닌, 미래전략실 주도로 이뤄졌으며 이러한 불투명한 지배구조가 재벌문제의 핵심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양사의 합병이 삼성물산이 저평가되는 시점에 합병이 이뤄진 것에 대해 장에서 주주들이 문제 제기를 할 여지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최 사장에게 "경영진은 주주를 대변해 주주의 이익을 최우선해야 하는데 지배주주의 이익을 대변했다"며 지적했다.

이에 대해 최 사장은 "합병은 양사의 경영상 이유로 추진된 것"이라며 "4월 말부터 착수했는데 합병 시기도 경영상황을 감안해 결정했다"고 말했다.

이 날 오후 함께 증인으로 출석한 조대식 SK(주) 대표도 SK와 SK C&C 합병이 최태원 회장의 지배구조를 위한 것이 아니었냐는 김 의원의 질문에 대해 “양사간 합병은 자회사 들간 미래성장 동력 확보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라고 말했다.

두 건의 합병에 의사결정자로 참여한 국민연금은 SK-SK C&C와 삼성물산-제일모직의 합병에 대해 서로 다른 의사 결정이 가능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영환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은 SK합병건이 외부인사로 꾸려진 의결권행사전문위원회(의결위)에서 결정된 반면 삼성건은 내부인사로 구성된 투자위원회에서 직접 결정한 것이 삼성에 대한 특혜가 아니냐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홍완선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장은 “사안 자체로 보면 유사한 동질성이 있지만 두 건의 합병은 분명 다른 측면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8월 말 최치훈 삼성물산 사장을 만났지만 합병 이후 주주환원 정책에 대해 약속한 부분을 지켜달라고 주문했다”고 말했다.

이홍석 기자 (redsto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