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출가스 조작 폭스바겐, 국내서 최대 10만대 리콜
저감장치 정상화로 리콜 이후 연비 줄어들 수밖에 없어
구입 당시보다 연비 떨어져 소비자 보상 불가피해 보여
폭스바겐의 디젤차량 배출가스 조작 파문이 확산하는 가운데 국내에서 최대 10만여대에 대해 리콜이 이뤄질 전망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폭스바겐코리아는 지난달 30일 환경부에 국내 판매 현황, 조작 장치에 대한 구체적 내용, 시정 조치 계획을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독일 폭스바겐그룹 본사는 오는 7일까지 독일 당국에 사태 수습 방안을 제출하고 허가를 받은 뒤 차량 수리에 착수할 계획이다. 아울러 각국 언어로 웹사이트를 개설해 수리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한국도 이르면 다음 주 중 고객에게 구체적인 리콜 계획을 공지할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선 국내 리콜 대상이 10만여대에 이를 것으로 점치고 있다. 수입차 배출가스 관련 리콜로는 역대 최대 규모다.
문제 차종은 폭스바겐의 골프와 제타, 비틀, 파사트 외에도 티구안, 폴로, CC, 시로코 등 8개다. 아우디는 A3를 비롯해 A4, A5, A6, Q3, Q5 등 6개 차종이다. 이 중 배출가스 조작 차량으로 의심되는 유로5 엔진을 탑재한 차량은 총 12만7000여대다.
다만 이번 사태가 단순히 리콜로만 끝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리콜로 배출가스 저감장치를 계속 작동하도록 하면 더 많은 연료가 소비되고 연비나 성능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이에 공인연비보다 떨어지면 폭스바겐은 소비자에게 이를 보상해야 할 수도 있다.
지난해 미국에서 현대·기아차가 연비 과장으로 적발돼 대규모 리콜을 했을 때 소비자에게 직불카드를 주는 형태로 보상해준 바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