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강동원 당당하면 '면책특권' 뒤에 숨지말라


입력 2015.10.14 15:39 수정 2015.10.14 15:53        문대현 기자

<기자수첩>집권 3년차가 지나는 지금와서 부정선거? 의도가 무엇인지

강동원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14일 현재 포털사이트 실시간 검색어에는 '강동원'이라는 키워드가 상위권을 지키고 있다. 한동안 소식이 없던 '꽃미남 배우' 강동원을 생각하고 검색한 네티즌들은 실망감이 컸을 것이다. 해당 주인공은 19대 총선 당시 통합진보당 소속으로 당선됐다 지난 3월 새정치민주연합으로 당적을 옮긴 국회의원이기 때문이다.

"(지난 대선은) 이승만 전 대통령의 부정선거보다 더 악랄한 국기문란 선거로 기록될 것"

강 의원이 13일 정치분야 대정부질문에서 황교안 국무총리를 앞에다 두고 한 발언이다. 박근혜 대통령 집권 3년차가 지나가는 시점에 나온 이 발언은 정치권을 뒤흔들었다.

현장에서 직접 이 말을 들은 황 장관은 "그런 일은 있을 수 없다. 박 대통령에게 투표한 많은 국민들에 대한 명예훼손이며 세계에서도 공정성을 인정받는 중앙선관위원회에 대해서도 명예훼손을 한 심각한 말"이라고 화를 냈으며 박 대통령을 탄생시킨 새누리당도 즉시 대변인을 통해 '막말 주장', '범죄행위', '폭탄발언'이라는 단어로 규탄했다.

중앙선관위는 "개표의 전 과정은 각 정당·후보자가 추천한 총 4536명의 개표참관인의 감시 아래 공정하고 투명하게 진행됐다"며 "수개표 실시여부에 대한 이의제기는 단 한 건도 없었다"고 적극 반박했다.

이윽고 새누리당은 "헌법과 민주적 절차에 따른 선거결과를 부정하는 자는 입법부 구성원의 자격이 없으며, 유권자를 모독한 자는 피선거권을 가질 자격이 없다"며 강 의원의 제명을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문재인 새정치연합 대표마저 등을 돌렸다. 문 대표는 "어제 대변인실이 '당 입장이 아니라 (강 의원의) 개인 의견'이라고 논평을 냈다. 그것으로 답이 된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아무리 자당 소속 의원이라고 해도 해당 발언을 감싼다고 당에 득 될 것이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강 의원은 별다른 반응을 보이고 있지 않다. 중앙선관위의 반박 자료가 공개됐지만 이에 대해 재반박을 하지 않고 있고 새누리당의 계속되는 공격에도 모른 체 하고 있다. 어떤 경로를 통해서라도 자신의 발언으로 커진 현 상황에 대해 듣고 있겠지만 말이다.

지난 대선 이후 좌파 세력을 중심으로 한 일부 네티즌들은 '대선 개표 조작', '대선 불복'을 지속적으로 들고 나왔다. 그러나 이는 사실 확인이 되지 않은 하나의 '낭설'일 뿐이다. 이런 근거없는 주장을 국회의원이 국회 본회의장 대정부질문에서 '면책특권'이라는 특혜 뒤에 숨어 주장하는 것은 무책임하다. 그렇게 자신 있고 심각한 문제라면 더구나 '면책특권'이 아니라 개인의 명예를 걸고라도 주장해야 한다.

문대현 기자 (eggod6112@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문대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