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전교조가 집필진" 문재인 "거대한 절벽"
청와대 5자회담 역사교과서 국정화 논란 놓고 합의 못해
박근혜 대통령과 김무성·문재인 여야 대표, 원유철·이종걸 여야 원내대표가 22일 '5자회동'에서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놓고 서로의 주장에 근거를 들이대며 논쟁을 벌였다.
특히 이날 회동에서는 교과서 국정화 문제가 전체 대화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할 정도로 치열한 기싸움이 벌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소중한 만남 시간의 절반을 할애한 대화였음에도 불구하고 교과서 국정화 문제와 관련해서는 합의를 보지 못하고 상대방의 입장을 듣는 것에 만족해야했다.
여야 원내대표와 대변인의 브리핑을 종합해보면, 비공개 회담에서 가장 먼저 입을 뗀 문 대표는 단도직입적으로 역사교과서 문제를 거론했다. 문 대표는 “역사교과서가 국정화된다면 친일·독재교과서가 된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이에 김 대표는 “아직 집필진이 구성되지도 않은 교과서에 대해서 그런 주장을 하지말라”며 “지금까지 그런 주장에 대해 많이 참았지만, 야당이 정 걱정된다면 집필진에 참여하면 될 일”이라며 각을 세웠다.
박 대통령은 △현행 교과서 근현대사 부분의 집필진들이 특정 이념을 가진 전교조 등의 인원으로 구성돼 있다는 점 △6·25전쟁이 남북 양침으로 되어있는 교과서가 있다는 주장을 쳤다.
이에 이종걸 새정치연합 원내대표는 박 대통령의 주장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며 “6·25전쟁은 남침이라고 명시되어있고 잘못 전달된 것”이라고 말했으나 박 대통령은 반응하지 않았다.
이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후에도 역사교과서와 관련해서는 이미 오류가 해결된 내용과 교사용 지도서를 거론하면서 서로의 주장을 계속 되풀이 했다”고 상황을 전했다.
문재인 "거대한 절벽 마주한 듯" 이종걸 "냉장고에서 더운 밥 꺼내든 것 같다"
회동을 마치고 국회로 돌아온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는 “박 대통령과 김무성 대표의 역사인식은 상식과 너무나 동떨어져서, 거대한 절벽을 마주하는 것 같은 암담함을 느꼈다”고 말했다.
문 대표는 “대통령과 김 대표는 여전히 우리나라 역사교과서 집필자들과 역사학자 대부분이 좌파라는 생각을 가지고 계셨고 역사교과서가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부정하고 태어난 것이 부끄러운 나라인 것처럼 기술하고 있다는 아주 완고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 마디로 왜 보자고 했는지 알 수 없는 회동이었다”고 이날 회동을 촌평했다.
이러한 문 대표의 촌평에 대해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나도 (야당에 대해) 비슷한 것을 느꼈다”면서도 “그래도 우리는 여당이기 때문에 이를 풀어야할 책임이 있고 계속 노력하겠다”고 짧게 답했다.
이종걸 새정치연합 원내대표는 기자들과의 브리핑에서 “냉장고에서 더운 밥을 꺼내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마치 국민들의 평범한 일상에서 벗어나 섬에 다녀온 느낌”이라며 “국민 터널의 끝은 보이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반면 원유철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일단 대통령께서 여야 지도부를 초청하셔서 국내외 환경과 국제 정세, 최근 방미 성과 등에 대해 말씀 하신 것 자체가 소통의 장을 만들었다는 것이고 의미가 있다”며 “정국을 바라보는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었고 이런 소통의 자리가 종종 만들어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회동에서는 역사교과서 국정화 문제 말고도 △노동개혁 △청년일자리 △경제활성화법 △KF-X △일본 자위대 한반도 진출 문제 등이 폭넓게 언급됐으나 큰 틀에서의 합의나 의견을 좁힌 부분은 따로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