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턱밑 '고시' 급해진 문재인 "사회적 논의기구" 제안


입력 2015.10.29 12:36 수정 2015.10.29 13:25        이슬기 기자

29일 기자회견서 "박 대통령, 교과서 확정고시 중단해달라"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29일 국회 대표실에서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과 관련한 기자회견에서 박근혜 대통령에게 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 절차 중단을 요청하며 역사학계와 교육계 등 전문가들과 교육주체들이 참여하는 사회적 논의기구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29일 정부의 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 방침에 대해 “역사교과서 발행체제의 개선방안을 백지상태에서 논의하는 새로운 기구를 구성하자”며 역사학계와 교육계 등이 참여하는 사회적 논의기구를 구성해 교과서 발행체제 전반을 검토할 것을 제안했다.

문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당대표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여당이 현행 교과서 검인정제도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한 데 대해 이같은 방안을 내놓은 뒤 “여기서 현행 역사교과서의 내용을 충분히 검증하고, 검인정 제도를 발전시키는 방안과 대안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며 “대신, 대통령은 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 절차를 일단 중단해 주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문 대표는 이어 “사회적 논의기구 결과에 따르는 것을 전제로 그때까지 정치권은 교과서 문제 대신 산적한 민생현안을 다루는 데 전념하자는 취지”라며 “새누리당 안에서도 다양한 여론수렴과 사회적 중론을 모으는 공론화 과정이 미진했다는 비판이 많다. 우리는 정부·여당에 공론화 과정을 거칠 시간을 드리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전날 치러진 10.28 재보궐 선거 결과 야당이 24곳 중 2곳에서만 당선되는 참패를 겪으면서 ‘국정화 저지’ 동력에 제동이 걸리는 것 아니냐는 전망에 대해선 “어제 재보선 결과는 우리가 많이 부족했고, 우리 정치가 국민들께 희망을 드리지 못했다. 우리가 더 겸허하게 받아들여야 한다”면서도 “그러나 국정교과서 문제는 그것과 별개다. 정치의 문제가 아니다”라고 못 박았다.

문 대표는 이어 정부·여당이 이같은 제안을 거부할 경우의 대책을 묻는 질문에는 “우선은 우리가 어떻게 대응한다고 하기 전에 사회적 혼란과 갈등으로 정부·여당이 매우 어려워질 것이라고 본다”며 “지금 하고 있는 반대서명운동, 역사교과서 체험관, 버스 투어뿐 아니라 헌법소원도 강구하고 집필거부운동, 대안교과서 만들기 운동도 학계와 함께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뿐 아니라 만약 그것으로도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보다 비상한 각오와 결단도 검토할 것”이라며 강경대응을 예고했다.

이슬기 기자 (wisdo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슬기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