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내 혁신모임 꿈틀, 자기 목소리는 "글쎄...?"
'국민위한 정치' 외치며 탄생한 '정치연대 플러스'
소장파 실종에 대안될까 기대에다 '총선용 모임' 눈초리도
20대 총선이 얼마 남지 않은 가운데 새누리당 내 혁신모임 '정치연대 플러스'(이하 정치연대)가 탄생했다. 이 모임은 16대 국회 쇄신모임 '미래연대'를 잇는 새로운 모임이라는 기대와 함께 차기 총선을 노리는 신인의 등용문이 아니냐는 지적도 함께 받고 있다.
지난달 3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는 새누리당 원내·외 인사 100여명이 모여 '정치연대 플러스' 창립대회가 열렸다. 조해진 의원과 허숭 당대표 부실장, 이재교 세종대 교수가 공동대표를 맡은 이 모임에는 이기재 전 제주도청 서울본부장, 권신일 성북문화관광발전소장 등 내년 총선을 준비하고 있는 예비 출마자들이 일부 포함됐다.
이들은 창립선언문을 통해 "한반도 주변정세는 격변에 휩싸이고 남북간의 긴장과 갈등은 깊어지고 있는 상황에도 정치는 여전히 진영대결과 당파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며 "이제 새로운 정치를 추구하는 세력이 주도적으로 전면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국민우선의 가치정치, 국민공감의 생활정치를 위한 국민중심의 정치개혁을 실천해야 한다"며 "정치연대는 구태와 분열의 마이너스 정치를 청산하고 혁신과 통합의 플러스 정치를 원하는 세력들과 정치연대를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선언문 중 '새로운 정치를 추구하는 세력'은 신당 창당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냐는 해석을 낳게 했다. 이에 허 부실장은 "우리 조직은 신당 창당을 위한 모임이 아니라 계파를 초월해 새누리당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이라며 "선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가는 중심세력이 되고자 모였다"고 부인했다.
조 의원은 "우리를 발탁해주는 것을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주도적으로 능동적으로 개척해나가야 하겠다는 생각을 한다"며 "우리가 개혁의 방향성을 적립하고 현실에서 정치적 실행력을 확보해나갈 것"이라고 부연했다.
16대 국회 쇄신 이끈 미래연대, 19대 국회서 사라진 소장파
이들의 모임은 자연스레 '미래연대'를 떠올리게 한다. 미래연대는 '남원정'(남경필 경기도지사·원희룡 제주지사·정병국 의원)으로 대표되는 소장파 의원들이 16대 국회에서 한나라당의 쇄신을 이끈 모임이다.
2000년 1월 공식 창립식을 가진 미래연대는 기성정치가 외면해 온 젊은 세대의 목소리를 정치권에 전하는 세대 간 징검다리 역할을 목표로 구태정치를 극복하기 위한 당 개혁과 쇄신에 적극적인 목소리를 냈다.
16대 국회 개원 이후 미래연대에는 원내 인사가 19명에 달했고 원외 지구당위원장도 10명에 이르렀다. 이들은 당 총재 1인의 보스 정당체제를 민주적 집단지도체제인 최고위원회를 도입하는 일에 앞장섰고 당권과 대권을 분리하는 성과를 올리기도 했다.
미래연대는 다채로운 구성과 적극적인 활동으로 당 지도부도 쉽게 무시할 수 없는 조직을 갖췄지만 16대 대선에서 이회창 후보가 노무현 후보에게 패한 이후 활력을 잃었고, 소위 '독수리 5형제'로 불리는 인물들(김영춘·김부겸·안영근·이부영·이우재)이 한나라당을 탈당하는 등 내홍을 겪다 2004년 17대 총선을 전후해 해체를 선언했다.
그 후 새누리당 내 쇄신 그룹은 수요모임(17대)·민본21(18대) 등으로 명맥을 이어왔지만 영향력이 서서히 줄었고 19대 들어와서는 '아침소리'라는 초재선 모임으로 흔적만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아침소리는 모임의 구심점이 될 만한 인사가 존재하지 않아 정체성이 불분명하다는 평가가 많은 상황이다.
실제로 유승민 전 원내대표 사퇴 파동 당시 일부 의원만이 청와대를 향해 비판의 목소리를 냈을 뿐 조직적으로 한 목소리를 내는 움직임은 없었고, 19대 들어 쇄신 그룹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는다는 지적은 끊이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정치연대의 출범은 눈에 띈다. 19대 국회에 이른바 '박근혜 키즈'로 불리는 의원들이 대거 추가되며 개혁의 목소리를 내는 소장파 의원들이 자취를 감춘 상황에서 정치연대가 소장파의 세력화를 유도해 보수적 체질을 바꾸는 등 당의 지나친 우경화를 막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갖게 했다.
"사적 욕심 위한 결사체" vs "인물 쇄신이 당 쇄신의 첫 번째"
그러나 포함된 인물 면면을 볼 때 당내 쇄신 그룹의 역할을 하기 보다는 내년 총선 출마를 노리고 입지를 다지기 위해 만들어진 모임이라는 비판도 생기고 있다. 창립 목적이 불분명하고 개인적인 입장을 관철하기 위한 결사체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전문가는 '데일리안'에 "모임의 목표와 성격이 뚜렷해야 하는데 '새로운 정치'를 하겠다는 추상적인 목표만 있을 뿐 목표와 가치가 분명하지 않다"며 "결국 공천이나 선거 이후 자신들의 목소리를 다지고자 하는 실리적인 차원에서 만든 게 아니냐는 생각을 갖게 한다"고 밝혔다.
다중의 목적으로 자신들의 이익을 관철하기 위한 모임의 하나일 뿐이라는 것이다. 그는 "파괴력을 갖고 있지 않다고 본다. 당내 영향력도 미미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한 "유권자들이 기존 정당과 헷갈려 할 수도 있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유권자들의 혼란을 가중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국민들의 정치 불신이 큰 상황에서 정치연대가 기존 정당과 다른 메시지를 줄 수 있느냐가 모임의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같은 지적에 허 부실장은 "(정치적인) 욕심이 없으면 안 된다. 정치적 기회를 건너뛸 수는 없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본보에 "출마를 준비하는 사람들의 모임이라는 지적도 있지만 대의에 맞으면 되는 것"이라며 "당을 쇄신하려면 인물을 쇄신하는 것이 첫 번째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허 부실장은 "(정치연대는) 앞으로 '국민이 행복한 나라'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청년문제, 노동개혁 등 이슈에 대한 문제제기를 할 것"이라며 "또 선거구 획정이나 공천 룰 문제 등 정치적 쟁점에 대한 목소리도 낼 예정"이라고 말했다.
"당 지도부나 청와대의 의견에 반하는 주장도 할 수 있다는 뜻인가"라는 물음에는 "일부러 반대세력이 될 마음은 없지만 잘못된 것을 지적은 할 수 있다. 할 말은 하겠다"라고 답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