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우여곡절 끝 위원장 확정된 공천기구, 하지만...


입력 2015.12.08 09:04 수정 2015.12.08 09:05        문대현 기자

결선투표제 놓고 친박 대 비박 줄다리기 팽팽할 듯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서청원 최고위원이 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최고위원들의 발언을 듣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장시간 결론을 내지 못하던 새누리당 공천 특별기구 문제가 친박계의 양보로 일단락됐다. 그러나 위원장 선임과 큰 틀에서의 룰은 합의가 됐지만 세부적인 부분에서는 여전히 갈등의 뇌관이 남아 있다는 평가다.

새누리당은 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공천특별기구(가칭) 위원장에 황진하 사무총장을 내정하고 결선투표제를 도입하는 등 큰 틀에서의 공천 룰을 결정했다. 계파 간 이견이 심했던 경선 대의원 비율은 상황에 따라서 조율하기로 했다.

당초 친박계는 황 총장의 사무총장 선임을 반대해왔다. 비박계의 황 총장이 위원장에 오를시 역대 공천룰을 논의하는 당내 특별기구를 사무총장이 맡은 전례가 없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친박계의 속내에는 비박계가 위원장을 맡게 되면 자신들에게 불리해진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이 깔려 있었다.

반면 비박계는 친박계가 주장한 결선투표제에 부정적인 시선을 가져왔었다. 결선투표제는 경선에 3명 이상 후보가 경쟁할 경우 1차 경선을 거쳐 한 명을 걸러내고 1·2위 후보 간 2차 경선을 치러 최종 후보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이 제도는 현역 프리미엄보다 새 인물 발굴에 보다 유리하다고 알려져 있다.

비박의 김무성 대표와 친박의 서청원 최고위원은 사실상 황 총장 카드와 결선투표제를 서로 '딜'을 한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은 이른 시간 내 위원 구성을 완료하고 △경선 대의원 비율 △결선투표 방법 등을 두고 논의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전쟁의 서막 오르다"…경선 대의원 비율, 전략공천, 결선투표제 등 뇌관 곳곳

특별기구 출범에는 성공했다고 해서 모든 것이 끝난 것은 아니다. 이제 '전쟁의 서막'이 올랐다는 평가가 많다. 큰 틀에서의 합의가 이뤄졌을 뿐 세부내용에서는 아직 갈등의 요소가 많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우선 경선 대의원 비율을 놓고 친박계와 비박계가 부딪힐 가능성이 많다. 친박계와 비박계는 현행 당헌당규의 당원투표와 국민투표(또는 여론조사) '5대 5' 반영 비율을 놓고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친박 측은 당헌당규에 따르자는 반면, 김 대표 측은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한 비율을 70∼80%까지 늘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지도부는 '상황에 따라서 조율하기로' 했지만 이것이 합의의 결과는 아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비박계의 요구대로 국민의 비율이 다소 높아질 가능성이 높아지긴 했지만 언제 어떤 식으로 반발이 터져나올지는 예상하기 어렵다.

컷오프와 전략공천의 도입 여부를 놓고서도 파열음이 일어날 수 있다. 김태호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에서 "만약 컷오프나 전략공천을 배제한 상황에서 공천룰을 논의한다면 그들만의 잔치로 비칠 수 있다"며 "이제 (공천기구가) 출범했지만 그간 저희가 논의한 컷오프·전략 공천 문제가 배제된다는 뜻은 아니다"고 버텼다.

김 대표는 지난해 7.14 전당대회에서 승리하면서부터 '전략공천은 없다'고 못 박았고 그 후로도 '정치생명을 건다'는 표현을 쓰면서까지 강조해왔다. 이런 상황에서 김 최고위원의 발언은 자칫 싸움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만큼 향후 특별기구의 움직임을 지켜봐야할 것으로 보인다.

김 대표는 6일 저녁 최고위원 전원이 참석한 채 진행된 비공개 만찬에서 전략공천과 컷오프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자 "하려면 나를 죽이고 하라"라고 까지 한 것으로 전해진 만큼 갈등의 요소는 충분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현역 의원들이 대체로 결선투표제를 반대하는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어 이 문제를 놓고도 충돌할 수 있다. 김 대표 측에서는 결선투표제를 지지율 차가 오차 범위 내일 때 활용하자고 주장하는 반면 친박계 쪽에서는 과반 획득을 기준으로 하자고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친박계의 요구대로라면 '현역 물갈이'가 불가피하다.

초조한 비박 "갈등의 요소 남아 있다" vs 여유로운 친박 "앞으로 큰 문제 없을 것"

이러한 상황에 대해 한 비박계 의원은 7일 '데일리안'과의 통화에서 '갈등의 요소가 남아 있지 않느냐'는 질문에 "그렇지"라며 "김 대표가 결선투표제를 받아들였는데 그게 어떤 의미인지 정확히 확인을 해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대구 지역 의원들이 난리가 났다고 들었다"라며 "여러 명이 한 번에 대결을 펼쳐 1위가 올라가는 것으로 하면 현역에게 유리하지만 결선투표제를 통하면 현역들이 엎어질 수 있고 그 말은 곧 청와대에서 내리 꽂는 인사가 승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청와대의 전략공천을 우려하는 비박계의 입장을 제대로 대변한 것이다.

반면 친박계 의원 쪽은 여유로운 반응을 보였다. 이미 결선투표제를 진행하기로 한 만큼 자신들이 원하는 인사를 후보로 내세울 수 있다는 자신감이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을 지역구로 둔 한 친박계 의원은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김 대표와 서 최고위원이 큰 틀에서 타결을 봤기에 앞으로 큰 문제점은 없을 것 같다"며 "특별기구에서 나름 잘 의논하면 될 것"이라고 낙관했다.

그는 "그러나 (선거구 재획정에 따른 분구를 전제로) 어느 지역에는 후보자가 전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그런 곳에는 승리할 수 있는 후보를 데리고 와야하는 전략을 세워야 할 필요성이 있다"며 "선거는 이기는 것이 목적이 아닌가. 이런 부분은 김 대표도 이해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대현 기자 (eggod6112@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문대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