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195개 당사국 12일 최종 합의문 서명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전세계가 참가한 보편적 기후변화 협정이 12일(현지시간) 체결됐다.
이날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 195개 협약 당사국은 회의자인 파리 인근 르부르제 전시장에서 2020년 이후 새로운 기후변화 체제 수립을 위한 최종 합의문에 서명했다.
이번 협정은 195개 당사국 모두 지켜야 하는 구속력 있는 첫 합의다. 지난 1997년의 교토의정서는 선진국에만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준 바 있다.
31페이지 분량의 협정 최종 합의문에 따르면 당사국들은 새 기후변화 체제의 장기 목표로 지구 평균온도의 상승폭을 산업화 이전과 비교해 섭씨 2℃보다 훨씬 작게 제한하며 섭씨 1.5℃까지 제한하기로 노력하기로 했다.
앞서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는 도서 국가나 기후변화 취약 국가들이 이를 요구해왔다. 현재 지구 온도는 이미 산업화 이전보다 1℃가량 상승한 상태다.
한국을 포함한 180개국 이상은 이번 총회를 앞두고 유엔에 2025년 또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얼마나 줄일 것인지를 담은 감축목표(INDC)를 전달했다.
또한 합의문에서 금세기 후반기에는 인간의 온실 가스 배출량과 지구가 이를 흡수하는 능력이 균형을 이루도록 촉구하고 온실가스를 좀 더 오랜 기간 배출해온 선진국이 더 많은 책임을 지고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처를 지원하는 내용도 합의문에 포함됐다.
이에 따라 선진국은 2020년부터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처 사업에 매년 최소 1000억 달러(약 118조1500억 원)를 지원하기로 했다.
아울러 2023년부터 5년마다 당사국이 탄소 감축 약속을 지키는지 검토하기로 했다.
한편 이날 합의에 대해 일부 환경 운동가들이 파리 에펠탑 주변 등지에서 지구를 보호하기 위해 충분하지 않다며 시위를 벌였다.
애초 이 총회는 전날인 11일 끝날 예정이었으나 협상 참가국 간 견해 차이 때문에 이날까지 회의 기간이 하루 연장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