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칙에 따라 유급 결정되니 학생 스스로 피해 없도록 책임 있게 행동해야"
"4학년, 각 대학 정한 복귀 시한 넘기면 의사 국가시험 실기시험 응시 불가"
"수업 참여 기한 의사 양성 시스템에 어려움 주지 않도록 숙고해달라"
의과대학 학장들이 새정부 출범에 따른 의대생 유급의 유예 가능성을 일축하며 학칙 준수 방침에 예외는 없다고 강조했다.
40개 의대 학장 단체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의대협회)는 15일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에게 알립니다'라는 입장문을 통해 "의대 학사 정상화라는 정부 목표는 확고하며 이는 새정부 출범과 무관함을 인식해야 한다"고 밝혔다.
의대협회는 "학생 대부분이 3월 말 2025학년도 등록을 통해 학교로 복귀했다"며 "지금부터 학생들의 역할은 수업에 참여해 정부가 2026년도 모집정원 3058명을 빠르게 선언하도록 하고, 올바른 의료 환경을 만들기 위한 거버넌스를 함께 만드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교육부,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는 2025학년도 학사 유연화 계획이 없음을 여러 번 확인했고, 각 의대와 학장은 이 방침에 예외를 둘 수 없다"며 "각 학교 학칙에 따라 유급이 결정되니 학생 스스로 피해가 없도록 책임 있게 행동해야 한다. 정치적 상황이 학사 유연화 등의 여지를 열어줄 수 있다는 판단은 정확하지 않다"고 말했다.
또 "의학과(본과) 4학년은 각 대학이 정한 복귀 시한을 넘기면 의사 국가시험 실기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며 "각 대학이 정한 1학기 성적 마감 시점까지 임상 실습과 평가가 마무리되지 못해 유급이 결정되면 원서 접수는 불가하다"고 강조했다.
의대협회는 "2025학년도 1학기 유급 시한 전에 수업에 참여하지 않으면 24·25학번의 분리 교육은 불가하거나 의미가 없다"며 "정해진 수업 참여 기한을 넘겨 후배의 미래와 의사 양성 시스템에 어려움을 주지 않도록 모두 숙고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의대협회는 의대와 의전원의 의학과 4학년 유급 예정일도 안내했다.
의대협회에 따르면 이날까지 고려대, 서울대, 연세대, 울산대 등 13곳의 유급이 확정되고, 이달 말 동국대 의대를 마지막으로 32곳의 4학년이 유급될 수 있다. 24·25학번이 대거 유급되면 26학번까지 3개 학년이 겹치는 '트리플링'이 현실화해 1학년 수가 1만명에 달할 수 있다. 교육계와 의료계 모두 1만명 동시 수업은 불가능한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