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스마트폰 영상, 유튜브-DMB-네이버 순으로 본다


입력 2016.01.29 16:59 수정 2016.01.29 16:59        스팟뉴스팀
2015년 국내 스마트폰 앱 순이용자 현황. ⓒ 지상파DMB 편성위원회

작년 6월말 모바일 IPTV에서 지상파 3사의 실시간 채널 서비스 중단 이후 반년간의 스마트폰 영상 어플리케이션 이용 결과가 공개됐다.

지상파 콘텐츠 이탈로 이용자 수 감소가 우려됐던 통신 3사의 모바일 IPTV 앱 이용자는 지난 6개월간 소폭의 증가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DMB편성위원회와 옴니텔은 29일 시장조사업체인 닐슨 코리안클릭의 '2015년 연간 국내 스마트폰 영상 앱 이용 현황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밝혔다.

2015년 연간 국내 모바일 영상 App 순 이용자 집계 순위에서 '유튜브'가 1,976만명으로 1위, DMB(스마트DMB 포함)가 1,021만명으로 2위를 기록하며 전년과 같은 순위를 유지했다. 통신 3사 모바일 IPTV 서비스 App 순이용자수는 지상파가 서비스되던 2015년

상반기 대비 하반기 약 7% 수준인 42만 명이 늘어나며 오히려 증가세속에 통합 639만명의 순이용자가 집계됐다. 이 같은 결과는 현 모바일IPTV 서비스 이용에는 지상파 실시간 콘텐츠 유무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통신 3사간 2015년 모바일 IPTV 앱 순이용자는 LG U+ LTE비디오포털(235만 명), B tv mobile(209만 명), KT Olleh tv mobile(174만 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모바일 IPTV 앱의 지상파 실시간 서비스를 대체해 동일 콘텐츠를 제공하는 영상 앱 들은 상대적으로 선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고화질DMB 서비스 기능을 탑재한 지상파방송 시청앱인 '스마트DMB'은 2014년 대비 2015년 평균 33%가 증가한 순이용자 144만 명을 기록했고, 역시 지상파 라이브를 제공하는 유료 영상 App 푹(pooq)의 순이용자도 2015년 상반기 대비 하반기 평균 약 27만 명의 증가를 보였다.

네이버는 2015년 8월 '브이(V)'를 공식 론칭, 연말까지 평균 114만명 선의 급격한 이용자 증대를 보이며 국내 주요 모바일 영상 앱 순위권에 이례적으로 빠르게 진입하며 엔터테인먼트 기반 영상 앱의 강점 및 포털 인프라의 저력을 입증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상파DMB 편성위원회 이희대 국장(QBS)은 "2015년 국내 영상 앱 이용은 상위권 앱의 경우 2014년 대비 큰 순위 변화는 없었던 가운데 유튜브에 이어 DMB의 2위 수성은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여전한 무료 보편 방송 선호 경향과 토종 스테디셀러 영상 앱의 의미를 재 확인한 것"이라며 "작년 네이버 V 앱의 성공적 이용자 확산을 통해 모바일 영상 앱 생태계에 1인 미디어 및 MCN 특성을 결합한 특성화 앱의 시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라고 분석했다.

한편, 닐슨 코리안 클릭의 모바일 앱 이용실태조사는 일반적인 설문조사와 달리 스마트폰 이용자 약 6000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시청 기록을 수집하는 실제측정 방식을 사용했다.

스팟연예 기자 (spotent@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스팟연예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