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천정배 공동대표 '지분 다툼' 가능성은...
안철수-천정배 공동대표 '지분 다툼' 가능성은...
안철수 천정배 의원을 초대 공동대표로 한 '국민의당'이 2일 대전 한밭체육관에서 중앙당 창당대회를 개최한 가운데 안 의원 '단독'이 아닌 천 의원과 함께 '공동 대표'를 맡게 된 배경과 향후 '지분 다툼'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선 천 의원의 권유로 상임대표 자리에는 안 의원이 앉게 됐다. 선거대책위원장에는 김한길, 안철수, 천정배 의원이 공동으로 맡되 김 의원이 상임 선대위원장으로 선거를 지휘할 예정이다. 상임대표 자격의 안 의원은 천 의원보다 더 높은 의전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국민의당 최원식 대변인은 "천 의원이 안 의원에게 (상임 공동대표직을) 권유하는 식으로 약간의 양보를 했다"라며 "(공동대표가) 두 분인데 '상임'이 필요하냐고 (의원들 간) 말이 있었다. 그런데 천 의원이 상임 공동대표를 (안 의원이) 하는 게 옳은 것 같다고 말해 그 뜻을 존중해 '상임 공동대표'로 명시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일단 국민의당 대표직을 안철수와 천정배 의원이 공동으로 맡게 된 이유는 여러 세력이 연대해 있는 당 특성상 보이지 않는 '지분 다툼'을 미리 차단하기 위함으로 해석된다. 당 내부는 안철수계와 김한길계로 사실상 분리돼 있고. 여기에 광주, 전남의 민심을 크게 얻고 있는 천 의원의 지분 또한 국민의당으로서는 무시할 수 없는 상태다.
또한 안 의원이 단독으로 대표직에 선출될 경우 '결국 자기 당 만드려는 것이었다'는 비난과 함께 '안 의원의 사당이 된다'는 논란을 피할 수 없다는 것도 한몫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이종훈 시사평론가는 "현재로서는 지분 다툼이 클 것으로는 생각되지 않는다. 하지만 앞으로 더불어민주당과 협상하는 과정에서 국민의당이 '친노 패권주의'에 흡수될 수 있기 때문에 더민주와 차별화된 각자의 지분을 확실히 할 가능성이 있다"라며 "다만 이 과정에서 천 의원이 호남 공천과 관련해서 우선권을 달라고 할 수는 있겠다"고 예측했다.
반면 김철근 정치평론가는 "지분 싸움은 없다고 본다. 야권을 대체하는 정당을 만들기 위해서는 야권 핵심 지지기반, 결국 호남을 굳건히 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안철수, 천정배 공동대표 체제는 바람직하다"라며 "역대 제3세력이 거품 정당으로 끝난 경우가 많다. 문국현의 창조한국당, 정주영의 통일국민당 등이 정치 세력으로 생존하지 못하고 왜 다 말라버렸겠냐. 그 이유를 안 의원은 꿰뚫어 보고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소선구제가 채택된 13대 이래로 야권 호남 지지층이 분열된 적이 없었고 그 단합된 집결력이 수도권 민심을 좌우했었다"라며 "(천정배로) 호남의 지지기반을 확실히 다지고 안철수로 중도층을 잡는 '확장형 지도부'의 결합이라고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