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일본 신원 확인, 지문 대신 ‘족문’?


입력 2016.03.14 16:01 수정 2016.04.04 11:26        스팟뉴스팀

신발로 보호받아 훼손 적어, 지진 희생자 확인에 뛰어나

일본에서 손의 지문처럼 발바닥의 ‘족문’을 신원 확인에 활용하자는 움직임이 추진되고 있다.

전 경시청 수사 1과장인 마쓰자네 아키라 씨(68)와 전 경시청 감식과의 지문감정관 가네코 이데오 씨(69) 등이 건의한 안으로 재해 시에 시신과 인지증(치매) 실종자를 특정할 수 있는 조치다. 족문은 지문과 마찬가지로 모양이 변하지 않으며, 모든 사람이 다 다르다.

이 안을 발의한 두 사람은 모두 살인과 강도 등 형사사건의 베테랑이다. 이들은 “형사 사건의 경우 범인은 신발과 양말을 신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수사 대부분에서는 지문을 사용한다”고 말했다. 일반 수사에서는 크게 사용할 일이 없다.

하지만 동일본대지진에 시신을 빨리 유족에게 돌려보내 주고 싶은 경찰이 인상착의나 일부 신체적 특징으로 신원을 잘못 파악해 유족에게 인도하는 실수가 수차례 발생하는 것을 보고 족문 사용을 생각해냈다.

가네코 씨는 “DNA 감정은 시간과 비용이 들며 지문 감식에도 장벽이 있다. 하지만 족문은 신원만 확인하는 데 탁월하다”고 말했다.

족문은 주로 발바닥 앞쪽으로 이뤄진 발가락 ‘기저부’를 확인하는데, 면적이 넓고 문양이 단순하다. 또 피부다 단단한 데다 대부분 신발로 보호를 받아 재해로 훼손된 시신에서도 형상이 보존된 경우가 많다.

미쓰자네 씨는 “지문은 프라이버시와 목적 외 사용에 대한 경계심이 있겠지만, 족문은 사용처가 달리 없어 수집하기 쉬울 것”이라며 “시청 등에서 관리해도 좋고, 친척들끼리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법도 있다”고 말했다.

족문의 채취는 발을 스캐너에 올리기만 하면 된다. 스캐너 샘플은 이미 개발됐다. 40cm 크기의 정 사각형으로 20kg 데이터 축적과 조회도 짧은 시간에 가능하다고 한다.

일본 경찰청에 따르면 2014년 인지증으로 추정되는 고령자의 실종 신고는 일본 전역에서 1만783명에 달한다. 동일본대지진 사상자의 시신 75구는 2016년 2월까지 신원이 확인되지 않았다.

미쓰자네 씨는 “인지증 때문에 누군지도 모른 채 계속 보호를 받는 고령자의 문제는 남의 일이 아니다. 또 거대 지진이 발생한다면 많은 희생자의 신원확인에 난항을 겪을 것이다. 족문은 ‘만반의 대책’이 될 것”이라고 호소했다.

스팟뉴스팀 기자 (spotnew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스팟뉴스팀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