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연대 '엄벌' 팔 걷어붙인 국민의당, 속내가...
"지역구 득표=비례대표 득표…비례 순번 때문"
지역구 득표=비례대표 득표…비례 순번 때문?
정치권이 지난 25일까지 제20대 국회의원 총선거 후보등록을 끝내고 본격적인 선거레이스를 시작했지만 여전히 남아있는 '야권연대'의 불씨가 선거판을 흔들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당이 '후보자간 연대는 막지 않겠다'던 기존의 입장을 180도 선회했기 때문이다.
특히 야권이 단일화를 이루게 된다면 수도권에서만 초박빙 지역 7~8곳의 승패가 뒤바뀔 수 있는 만큼 국민의당의 갑작스런 입장 변화 이유에 정치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달초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통합 제안'으로 불거진 국민의당내 '연대 파동'은 삼두체제의 한 축인 김한길 상임공동선대위원장의 당직 사퇴와 또 다른 축인 천정배 공동대표의 '발언 철회'로 정리됐다.
당시 천 대표와 '수도권 연대'를 두고 극한 갈등을 연출했던 안 대표는 "후보자들의 개별적 연대까지는 어쩔 수 없지만 당대 당 연대는 안 된다"고 절충안을 내놨고, 천 대표는 "당대 당 연대가 아니면 의미가 없다"로 맞섰으나 최종적으로 자신의 주장을 철회하면서 '야권연대'를 둘러싼 국민의당의 입장은 후보자간 연대를 막지 않는다는 쪽으로 정리됐다.
그러나 지난 25일 기자회견에서 이 본부장이 당대 당 연대는 물론이고 후보자간 연대에 있어서도 "'일방적·자의적 연대'에 대해서는 아주 강력한 조치를 취하겠다"며 180도 바뀐 입장을 밝혔다. 그는 '일부 지역에서 여론조사 등을 통한 단일화를 생각하고 있는데, 그런 방식을 굳이 당에서 막을 필요가 있느냐'는 질문에 "(연대 문제는) 당에서 판단하겠다"며 "적어도 우리 당의 공천을 받은 만큼 단일화에 대해서는 마땅히 당과 협의가 이뤄져야한다"고 강조했다.
손바닥 뒤집듯 바뀐 국민의당의 입장에 대해 정치권에서는 '현실적인 비례대표의 문제가 작용했다'는 분석을 내놨다.
우리나라는 선거에서 소수 정당에 대한 대표성을 보장하고 사표를 방지하고자 유권자의 지역구 후보는 물론 정당 투표도 실시한다. 보통 정당 투표는 지역구 투표시 선택한 후보의 정당을 따라가기 마련이다. 따라서 단일화나 연대를 통해 투표용지에서 아예 국민의당 후보가 빠져버리면 정당 투표에서도 국민의당으로 투표될 표조차 단일화된 후보의 정당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는 논리다.
안 대표의 강고한 의지의 표현이라는 관측도 나왔다. 한 국민의당 관계자는 "안 대표가 그동안 계속 연대 문제로 당 내외부서 공격받아온 만큼, 이 문제로 다시는 당이 흔들리지 않도록 확실하게 못 박은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른 사람들은 모르겠지만 안 대표는 다른 의도보다 순수한 자신의 의지 표현이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연대 불가'가 국민의당이 취할 수 있는 가장 상수(上數)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텃밭인 호남에서조차 바닥까지 떨어졌던 지지율이 안 대표의 강고한 '연대 불가'로 다시 반등한 만큼 집토끼 단속을 위해서는 피치못할 분석이라는 설명이다.
하지만 이렇게 될 경우 후보자가 자신의 거취를 스스로 판단하지 않고 원하지 않는 게임을 강제로 끝까지 완주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우려된다.
한편 표를 의식한 '연대 불가' 방침이라는 비판과 야권패배의 멍에를 의식한 듯 안 대표는 29일 관훈토론에서 "우리 당의 지지자들은 신념을 가지신 분들인데 우리 당 지지층은 야권후보 단일화가 이뤄진다고 해도 더민주를 찍을 것인가의 문제에서 그 (단일화) 효과는 상당히 적을 것으로 본다"라고 말했다.
국민의당의 강고한 연대불가가 '승부수'가 될 지, '야권패배'의 멍에를 쓸지 정치권은 지켜보고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