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근 “복당 반대하는 사람, 과거 잊었나”
PBC 라디오서 “지향점 없는 연대 사라져야” 비판
새누리당의 쇄신파로 꼽히는 정태근(서울 성북갑 후보) 전 의원은 30일 “(무소속 후보들의) 복당이 안 된다고 얘기하는 분들은 불과 몇 년 전의 과거를 잊어버린 것 아닌가 생각한다”고 꼬집었다.
정 전 의원은 이날 PBC 라디오에서 “과거에 당의 공천 잘못이든 여러 가지 상황적 문제든 당의 후보로 출마하고 싶었는데 출마하지 못해서 당선된 사람들, 결국은 생각을 같이하는 사람들이 무소속으로 당선돼 복당하겠다고 하는 것을 반대한 사례는 들어보지 못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원유철 원내대표 등은 유승민 의원 등 무소속 후보의 당선 후 복당을 반대하고 있다. 원 원내대표는 지난 27일 MBC 방송에 출연, “이번에 무소속 출마한 분들이 당선될 경우 복당을 허용해야 하지 않겠냐는 논란이 있다”며 “분명히 말하지만 무소속 출마한 분들이 당에 돌아오는 것은 어렵다”고 강조한 바 있다.
정 전 의원은 “진정으로 박근혜 정부의 성공을 원하려면 새누리당이 보다 더 안정적인 의석을 갖고 국정운영을 해야 한다”며 “강봉균 선대위원장도 민주당에서 활동하다가 모셔오지 않았느냐. 그런 예를 비춰보면 상식이 안 맞는 주장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경환 의원이 전날 ‘무소속을 찍는 것은 야당을 도와주는 것과 다름없다’고 한 데 대해서는 “국회의원 선거는 국익을 우선해서 양심에 따라 제대로 일할 수 있는 국회의원을 선출하는 선거”라며 “국민에게 정치적으로 혼란을 주는 발언은 정치인들이 삼가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 스스로 자성하고 정치를 바꿔나가겠다는 취지에서 국민에게 지지를 호소해야지 국민을 자극하거나 계파의 생각을 앞세우는 식의 발언은 도리가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또한 ‘무소속 연대’에 대해서는 “친박연대 같은 경우 박근혜 대통령의 당선, 선거 승리라는 목표가 있었을 거다. 그분들이 무소속으로 출마하니까 동병상련의 정을 나누는 것은 이해를 한다”면서도 “연대라는 게 뭘 의미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한국 정치에서 정치적인 분명한 목표나 방향을 제시하지 않은 연대는 점차 사라졌으면 좋지 않겠는가”라고 강조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