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KT, 생체인증 국제표준규격(FIDO) 획득
지문, 홍채, 얼굴, 음성 인식등으로 사용자 인증 가능
금융/핀테크 및 IoT 등 차세대 인증 시장 진출 기대
SK텔레콤과 KT가 생체인증 국제표준인 FIDO 인증을 획득했다고 6일 밝혔다.
FIDO표준은 핀테크 확산과 함께 비밀번호, 인증서, OTP 등 기존 인증 방식들을 대체해 다수 업체들이 채택하고 있어 차세대 주요 인증 수단으로 빠르게 확산되는 추세다.
온라인 환경에서 생체인식기술을 활용한 인증방식으로 복잡한 패스워드 입력 없이 지문, 홍채, 얼굴, 음성 인식 등을 통해 빠르고 정확하게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으로 FIDO 얼라이언스(하단 자료 참고)에서 인증서를 수여한다. 현재 페이팔, 알리페이, 삼성페이와 같은 국내외 유수의 간편결제 서비스에 사용 중이다.
FIDO 표준은 분실될 경우 매우 치명적인 생체정보를 서버에 전달하지 않고 스마트 기기의 안전한 영역에서 인증해 그 결과 값만을 암호화해 서버에 전송 및 검증하여 본인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안전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인증 과정에서 사용자의 고유 정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프라이버시가 보호되는 등의 장점을 갖고 있다는 설명이다.
SK텔레콤은 지난해 9월에 FIDO관련 개발을 완료하고, 사내시스템에 적용해 부분 상용화를 완료하는 등 내부 검증과정을 통해서 기술적 완성도를 높여왔다. 이번 표준 인증 획득을 계기로 급변하고 있는 IT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 가능한 차세대 인증 플랫폼을 구축하여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는 인증 시장에서 기술적 주도권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박진효 SK텔레콤 네트워크 기술원 원장은 “이번에 FIDO 인증을 획득함으로써 대외적인 공신력을 확보했다”며 “SK텔레콤이 추구하는 3대 플랫폼(생활가치/미디어/IoT)에 인증 솔루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금융 핀테크 △사물인터넷 분야로 계속적으로 확대 적용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KT 역시 FIDO 인증을 획득했다. KT는 지난 3월에 FIDO 얼라이언스 주최로 열린 상호운용성 테스트에 참여하여서버, 클라이언트, 인증장치에 전 분야에서 FIDO 표준규격에 대해 적합성을 검증 받고 인증을 획득했다.
KT는 하반기부터 금융권 비대면 인증과 로그인, 결제 등을 이용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FIDO 기술이 접목된 새로운 인증 방식을 서비스할 계획이다.
최정윤 KT 융합서비스개발담당 상무는 “핀테크 시대에 KT고객들이 보다 안심하고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FIDO인증기술을 개발했다”며 “이번에 인증 받은 앱 방식 인증장치에 이어 상반기 내 국내 최초로 휴대폰 내 안전한 저장매체인 USIM을 활용한 FIDO 인증장치를 추가 개발하고 FIDO 인증을 획득할 계획이다”고 전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