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두언, 원유철 겨냥 "한 번 간신은 영원한 간신"
'YTN 라디오'서 "지금 복당 이야기 할 땐 아냐"
정두언 새누리당 의원은 18일 원유철 원내대표를 비상대책위원장에 추대하려는 당의 움직임을 지적하며 "한 번 간신은 영원한 간신"이라고 강력히 비판했다.
정 의원은 이날 오전 'YTN 라디오'에 출연해 주변의 말을 빌려 "새누리당은 구제불능이다. 특히 권력을 위해서 가장 입 안의 혀처럼 군 사람이 그 사람(원 원내대표)인데 도대체가 이렇게까지 뻔뻔할 수 있냐"며 이같이 밝혔다.
정 의원은 "(총선 참패) 수습을 하려면 권력의 주인인 국민의 마음을 다시 얻기 위해 먼저 잘못을 사과하고 새 길을 제시하면서 새로운 인물을 내세워야 하는데 지금 이 상황은 하나도 되는 게 없다"며 "권력자 눈치 보느라고 국민을 무시한 사람들이나 그런 사람들을 막지 못한 나 같은 사람들이나 다 책임이 있다. 여기서 비교적 자유로운 사람을 내세워서 비대위원장을 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무소속 당선자들의 복당 문제에 대해선 "우리 정치사에서 선거 때 당을 떠났던 사람들이 늘 예외 없이 다시 들어오건 하지만 그것도 시기가 있고 절차가 있는 것"이라며 "선거가 끝나자마자 입당 이야기가 나오고 또 물의를 일으켜서 나갔던 사람들이 아무런 반성도 없이 복당하겠다고 하는 경우는 없었다. 지금은 복당을 이야기할 시기는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윤상현 의원이) 복당을 하려면 당연히 자기 자신에 대한 반성,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하겠다는 게 있어야 하는데 그런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없다"고 경계했다.
그는 또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운영 방식이 앞으로 변할 거라고 보냐'는 질문에 "지도자는 권한을 행사하는 동시에 책임을 지는 자리인데 우리 지도자는 모든 책임을 밑으로 돌리고 있다"며 "지도자가 책임지지 않으면 아무도 소신껏 일하려고 하지 않는다. 지도자가 권력자가 아니라 책임자가 될 때 일이 풀리기 시작한다고 본다"고 답했다.
향후 3당 체제의 국회 운영에 대해선 "과거 국회는 타협과 양보같은 게 있었는데 최근 들어선 그런게 실종됐다"며 "다시 그런 게 살아나야 하는데 지금 정치 쟁점부터 다시 벌어지는 일들을 보면 별로 기대할 것도 없다고 본다"고 냉소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러면서 "결국 힘 있는 여당이 양보해가면서 국회를 끌고 가는게 맞다. 우리가 다수니까 따라오라는 식으로 운영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